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GlobusWorld2025 참석 후기

크레오넷관리자 View 414 2025-06-13

2025년 4월 21일부터 24일까지 4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GlobusWorld 2025(https://www.globusworld.org/conf/)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GlobusWorld는 매년 상반기에 개최되는 Globus 기술 컨퍼런스로서, 금년에는 북미/유럽/한국에서 약 100여 명의 주요 연구기관/대학 소속의 시스템 엔지니어, 개발자, 응용 연구자들이 참석하였다. 본 행사에서는 Opening Keynote 세션, 기술 세션, 튜토리얼 세션 및 가입기관 포럼 등에서 Globus online 서비스의 활용 사례, 신규 업데이트되는 기술 및 향후 서비스의 방향성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다.


Opening Keynote 세션에서는 Globus Exeive Director인 Rachana Ananthakrishnan가 지난 한 해 동안 Globus 서비스의 주요 활용 사례, 향후 Globus 방향성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해 발표했다. 일례로 SC24 행사에서 미국 샌디에고에 위치한 DIII-D 플라즈마 운영과 관련하여 IRI(Integrated Research Infrastructure) 프로그램 하에서 NERSC/ALCF/ESnet 등이 연계하여 Globus 데이터 전송 및 Orchestrated HPC Compute를 기반으로 SC ecosystem을 제공한 사례를 공유하였다. 


기술 세션에서는 과학장비 데이터 처리 자동화, 클라우드 스토리지 접근성 강화, Science Gateway 개발 및 운영 경험 등등에 대한 주요 가입 기관들의 Globus 활용 사례들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영국의 Rosalind Franklin Institute에서는 고해상도 Multimodal 생물정보 데이터를 실험 장비로부터 분석 플랫폼으로 안정적으로 전송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자동화된 파이프라인의 구현에 대해 소개했고,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는 AWS에 Globus Connect Server를 구현하여 On-premise 스토리지로부터 AWS S3에 연구 데이터 아카이브를 마이그레이션하는 과정을 발표했다. NCAR(미국 국립대기과학연구소)에서는 연구 데이터 아카이브 서비스인 RDA(https://rda.ucar.edu/)을 Globus를 활용하여 구축하고 운영한 경험을 공유하였다.


이번 행사 참여를 통해 Globus 핵심 관계자들과 KISTI/KREONET 도메인 내의 주요 엔드포인트/컬렉션들의 현황 및 사용 패턴들에 대해 공유하였고, 지속적인 운영 및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서는 비정기적인 국내외 엔드포인트/컬렉션들과의 송수신 외에 KISTI/KREONET 도메인 내에서의 과학대형 장비 등에 기반한 Killer 활용 사례 발굴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Globus 측에서는 Globus Compute에서의 Multi-user 지원, 데이터 스트리밍 지원 계획, Globus Flow 작성 지원을 위한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제공 등 신규 기능들에 대한 활성화를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들은 Globus Connect 엔드포인트/컬렉션을 제한적으로 이용하는 KISTI/KREONET 도메인에서도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기술 습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첨부파일(1)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