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내] KREONET 실무자와 함께하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와 AIOps 세미나 2025. 06. 05 View. 176
>>> 등록하러가기 <<< KTC(실무협) Cloud & Data center Working Group 활동의 일환으로 아래와 같은 세미나를 추진하려 합니다. 세미나명 : KREONET 실무자와 함께하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와 AIOps 세미나 목적 : 본 세미나는 과학기술연구망 가입기관 실무자에게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와 AI 기반 자동화 기술(AIOps) 주제로 차세대 네트워크 운영 패러다임을 공유하고 AI 시대의 네트워킹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려고 함. 일시 : 2025. 6. 18. 13:00 ~ 17:30 장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원 강당(본관) 참석자 : KREONET 실무자 중 관심 있는 사용자 참가등록 : 2025년 6월 9일(월) ~ 12일(목) KREONET 홈페이지 - 알림마당 - 행사안내 - 진행중인 행사 https://www.kreonet.net/notifications/post/event_ing?t=1749110681016
-
[안내] 제33차 KRnet 2025 (The 33rd Korea Internet Conf... 2025. 05. 26 View. 211
- 행사명 : KRnet 2025 (The 33rd Korea Internet Conference) - 일 자 : 2024. 6. 23(월) ~ 24(화) - 장 소 : 서울 엘타워(5층, 6층, 2층) - 주 관 : KCA, ETRI, TTA, KISA, KISTI, OSIA, NIPA, IITP, NIA - 후 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 사전등록 바로가기 >> https://krnet.or.kr/include/subPage.php?pageID=ID12832167621
-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NetSec-KR 2025서 세계 수준 연구망 성과 소개 2025. 05. 20 View. 291
– 거대과학 연구를 뒷받침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기술력 주목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지난 4월 17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NetSec-KR 2025에 참가해, 세계적 수준의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인프라와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활용 성과를 선보였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이번 전시에서 고속·고신뢰 네트워크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연구 성과를 소개했으며, 특히 우주, 기후, 생명과학 등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인 거대과학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를 통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실시간 시뮬레이션, 대형 실험 장비와의 연동, 글로벌 데이터 공유 등 실제 연구 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는 KREONET의 실질적 가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과로 평가받았다. 또한, 융합연구와 대형 실험 환경에 최적화된 연구망 운영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확대 가능성도 제시했다. 특히 KISTI는 현재 G&Eae;ANT(유럽), ESnet(미국) 등 해외 주요 연구망과의 연계를 통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이 세계 연구 환경과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인프라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이와 같은 국제적 연계는 미래 과학기술 연구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이번 NetSec-KR 2025 참가를 계기로, 연구자 중심의 초고속·초연결 네트워크 환경을 더욱 강화하고, 국내 거대과학 및 융합연구의 디지털 기반 인프라로서 KREONET의 역할을 계속해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
-
KNOM Conference 2025, 통신망운용관리 학술회 개최 2025. 05. 20 View. 268
KNOM Conference 2025, 통신망운용관리 학술회 개최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2025년 4월 24일부터 26일 3일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KNOM Conference 2025(Korean Network Operations and Management) 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행사는 운영위원장으로 조부승 센터장님이 전반적인 행사 총괄을 맡으셨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의 주관으로 진행되었다. KNOM Conference 2025는 5G/6G, AI/Cloud, Big Data, Datacenter, Blockchain, Security 기술들을 포함하여, 통신망 전반에 대한 운용 관리와 서비스/기술분야의 최신 연구를 주제로 연구논문을 모집하고 토론의 장을 마련하였다. 국내 많은 대학들의 논문 제출로 5G/6G, AI/Cloud, Big Data, Datacenter, Blockchain, Security 등의 다양한 주제로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열띤 토론이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 네트워크 분야의 다양한 연구 분야 및 기술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망 On-premise LLMs 포탈 구축 및 활용사례 안내 2025. 04. 10 View. 20103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내부 구성원의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하여 On-premise LLMs 포탈 구축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LLM 서비스는 질문하는 분야에 따라 LLM 응답의 품질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여러 LLM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여러 LLM 서비스를 모두 구독하여 사용하기에는 비용의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ChatGPT, Claude, Gemini 3개 서비스를 구독하고자 하는 경우, 1개를 사용할 때 대비 3배의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조직 구성원들의 LLM 서비스별 사용 패턴을 고려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팀 요금제로 구독하면 (LLM 서비스 수) x (팀원 수) 만큼의 비용이 발생한다. 서비스 사용량이 낮은 사람의 요금도 동일하게 부과되므로 과도한 비용 때문에 팀 단위 도입에 걸림돌이 된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종량제 LLM API 를 활용하여, 여러 모델을 골라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망 On-premise LLMs 포탈을 구축하여 2달 넘게 운영해 왔다. 해당 포털은 연구망센터 PC IP 대역에 한정하여 운영하였으며, 여러 모델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점 때문에 연구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았다. 사용량이 다양한 구성원이 동시에 사용을 하기 때문에, 사용량이 많은 유저(heavy user)가 존재하지만, 구성원 수 대비 생각보다 낮은 요금이 부과되었다. 또한 여러 종류의 모델을 사용하지만 하나의 포탈에서 각자의 계정으로 Chat Log가 관리되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았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출연연 오픈소스 협의회에 참여하여 적극적으로 의견을 교류하고 있다. 본 활용사례는 1년여 전 오픈소스로 구축한 한국원자력연구원 인공지능응용연구실로부터 소개받은 사례이며,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해 연구망센터에서도 구축하게 되었다. DeepResearch, MCP Agent 등 AI 기술과 용어가 범람하는 시대에, 연구망 활용기관들도 외부 AI 서비스 API 를 사용하고 운영중인 서비스에 녹여내는 경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 첫 단추로 연구망 On-premise LLMs 포탈 구축 가이드를 공개하였다. On-premise LLMs 포탈 구축 가이드 - https://wiki.kreonet.net/on-prem-llm-portal-guide-2025 본 문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안내하고 있다. 1. 여러 LLM API 를 사용한 만큼 지불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2. LiteLLM Proxy 를 통해 다양한 LLM API 를 통합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3. 통합된 API 를 호출하여 OpenWebUI 라는 하나의 웹 UI에서 여러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본 가이드와 함께 연구망 활용기관의 AI 활용 역량이 한단계 발전하는 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을 위한 KREONET Globus 엔드포인트/컬렉션 제공 2025. 04. 10 View. 20171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KREONET 기반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 모델을 보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KREONET 대전 PoP에 전용의 고성능 데이터 전송 노드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KREONET Transient(단기 활용) Globus 엔드포인트를 제공합니다. 해당 엔드포인트는 100Gbps 한미간 원거리 네트워크 환경에서 약 130ms 이상의 왕복지연 시간이 존재하는 ESnet Sunnyvale DTN 엔드포인트와 1TB 이상의 종단간 Disk-to-Disk 전송 시 수십 Gbps의 전송 성능을 기록하였고, Read-Only 컬렉션(검색명: KREONET Daejeon Read-Only DTN)과 Read-Write 컬렉션(검색명: DJ DTN Collection)을 포함합니다. Read-Only 컬렉션은 Globus 서비스(https://globus.kreonet.net/)에 로그인한 사용자는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Read-Write 컬렉션은 “사용자 로컬 계정”의 생성에 필요한 아래의 정보를 helpdesk@kreonet.net으로 제출한 후, 관리자의 승인 및 스케줄링을 통해 이용 가능합니다. 참고로 DJ DTN Collection은 운영 정책 상 Transient DTN 내에서 제공되므로 할당 받은 "사용자 로컬 계정" 및 "저장 공간"은 최대 10일 간 유지되고 이후에는 자동 삭제됩니다. 1. Globus online login 계정(eg. USER@globusid.org or USER@기관domain) 2. 참여하는 Project의 간단한 설명 3. 상대방 Endpoint/Collection Name 4. 이용 Quota(최대 20TB, TB or GB 단위로 요청) * "사용자 로컬 계정"은 "1. Globus online login 계정"으로 제출된 정보에서"USER"로 설정됨.
-
2025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워크숍 개최 2025. 04. 10 View. 20129
3월 27일~ 28일 '2025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Workshop' 를 개최하였습니다. 통영 스탠포드리조트에서 개최된 이번 워크숍에는 총 118명의 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 및 연구자가 참석하였고, 4건의 기술 발표와 2건의 사례발표로 진행되었습니다. ○ 기술발표(4건) - 아리스타의 차세대 Smart & Zero Trust Network – 아리스타 박달수 - 안전한 보안 환경기반의 Microsoft AI 솔루션을 통한 업무혁신 -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최정우 - 양자컴퓨팅 시대를 대비한 통신장비의 PQC 통합 전략 – 퓨쳐시스템즈 백종덕 - 한컴 AI 기술로 실현하는 효율적 업무 혁신 – HANCOM 신재욱 ○ 사례발표(2건) - 업무환경 개선을 위한 문서중앙화 시스템 및 협업툴 연계구축 사례 – 한국원자력연구원 김동현 - NGFW와 XDR을 활용한 핵융합(연) 네트워크 보안 강화 사례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심민정 2일차에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회원기관 실무자 전체 간담회와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협의회 워킹그룹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특히, 올해부터 추진하는 차세대 대덕연구단지특화연구망(SuperSIReN II) 추진 방향에 대한 소개는 물론 올해부터 새로이 시작하는 연구망 가입기관의 클라우드 및 백업데이터센터 활용을 위한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실무자협의회(KTC)의 클라우드 및 데이터센터 WG 구성은 물론 실무자협의회 위원 및 실무자 대상의 커뮤니티 활동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가 있었습니다. 하반기에는 좀 더 나은 프로그램과 KREONET 사용자분들과 소통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준비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KREONET APAN 59th(요코하마, 일본) 참석 및 GNA-G 미팅, APRP WG... 2025. 04. 10 View. 20572
APAN 59th 미팅은 2025년 3월 3일부터 7일까지 일본 요코하마 퍼시피코 노스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의 주최기관인 CINJI는 일본 및 국제 상호 운용 네트워크 연합으로 NICT, NII, MAFFIN, WIDE 등의 일본내 주요 연구기관의 상호 공동 운영 및 협력을 위한 협의체이다. 또한 APAN(Asia-Pacific Advanced Network)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NREN(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Networks)의 국제 파트너십으로서 1997년 6월부터 시작되었으며, 올해로 28년의 역사를 가지고 이쓰며, 이번 행사에는 아시아를 포함하여 북미, 유럽에서 총 350명이 참석하였다. KREONET에서는 GNA-G 의장단 일원(공동의장: 조부승 센터장)으로써 APAN59th Meeting에서의 GNA-G 미팅 개최를 통해 GNA-G 현안 및 GNA-G WG 활동내역 공유, 그리고 향후 WG으로의 조직이 가능한 데이터 개방 및 공유, 양자통신 테스트베드, LHCOPN/LHCONE/SKA 등 거대연구프로젝트를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에 대해 논의하였다. 특히 APAN Agriculture & Disaster Mitigation의 공동의장인 Veerachai Tanpipat의 아시아태평양에서의 농업 및 자연재난 대응과 관련한 다양한 데이터 공유 사례 공유, ESnet CTO인 Chin Quok의 ESnet QUANTNET에 대한 소개로 양자통신을 위한 통신 시스템 및 양자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현황 공유, 유럽연구망 GEANT의 대외연구협력책임자인 Vincenzo Capone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 CERN의 LHCOPN/LHCONE 전용망과 SKA 프로젝트 네트워크에 대한 현황을 공유하고 이슈사항들을 논의하였다. APAN Asia Pacific Research Platform(APRP) 워킹그룹(의장: 문정훈 책임)에서 APRP WG Session 1, 2 & 3의 운영을 통해 기술파트, 국가별 현재 상황 업데이트, 공유/분산 HPC 환경의 구축과 Open Infrastructure에 대한 패널 디스커션 및 A3 과제 PI의 협력 미팅이 있었다. 특히 유럽 연구망 협의체인 GEANT의 Vincenzo Capone의 ‘Navigator through the Data Storm’을 통해 빅데이터의 범람속에 유의미한 데이터의 추출과 활용에 대한 미래 기술과 전망에 대한 주제 발표가 있었고 세션의 구성으로는 Keynote Speech & Technical Part/Application & Country Update Part/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HPC infrastructure & Panel Discussion Part의 3개로 구성하여 8개국에서 12개의 발표로 진행되었다. 특히, 국가별 고대역 NREN 환경의 업데이트와 AI-Science, Bio-Science, ScienceDMZ, Gene Research of Medical, HPCI Shared Storage System, Multi-Domain big data transfer 등 다양한 주제로 발표와 패널 토의가 진행되었다. APAN 59th Meeting에서의 과학기술연구망센터의 주요 활동 현황은 다음과 같다. 조부승 센터장은 GNA-G 국제연구망협의체를 대표하여 GNA-G 미팅을 주관하여, 개최하였다. 또한 APAN 이사(한국대표) 자격으로 APAN의 주요 현안을 협의하고 결정하는 APAN 이사회(Board of Directors) 미팅 참석 및 의결, AER(아시아-유럽국제연구망협의체) + APOnet(아시아태평양오세아니아국제연구망협의체) 멤버 미팅 참석 및 현안 논의, APAN Internet Governance SIG 그룹에서 개최하는 Role of NRENs in shield Internet Fragmentation 세션 패널 토의자, Indiana University/미국 - KREONET NSF IRNC 아시아-태평양 국제연구망 구축 프로젝트 협력 미팅, SINET/NII-KREONET/KISTI 한일 국가연구망간 협력 미팅 등을 추진하였다. 문정훈 책임은 APRP WG을 주관하여 개최함은 물론 "Asia Pacific Research Platform Activities and Related Work &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HPC infrastructure"를 통해 APRP 현황과 한.중.일 3개국의 슈퍼컴퓨팅센터와 연구망의 연계를 위한 국제협력과제인 A3 Foresight 과제(“Data Sharing Infrastructure across Northeast-Asia Supercomputing Centers for Open Science”)를 소개하였다. 김기현 선임은 AI Driven Networks WG에서 KREONET AI 연구플랫폼에 대한 "KREONET AI research environment provision platform for AI researchers"을, APRP WG에서 "Agricultural high bandwidth distributed HPC platform"를 주제로 발표하였다. 마지막으로 김기욱 선임은 APRP WG에서 "Wireless & data transfer inter data centers"를 발표하였다.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백본 고도화를 위한 사용자(실무자, 연구자) 수요 설문 ... 2025. 04. 04 View. 24785
안녕하세요. KREONET 입니다.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은 국가적인 연구수요 반영 및 KREONET 현행화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매 3년 마다 고도화를 하고 있습니다. 해당 고도화 추진을 위해 KREONET 사용자는 물론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수행에 있어 필요한 네트워크 자원의 수요를 조사하고 있으며 이를 백본 고도화 설계에 반영하여 추후 구축될 KREONET 백본에 활용됩니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본 백본 고도화에 대해 사용자들의 소중한 의견을 담아 추진하고자 수요조사를 실시하려 하오니 사용자들의 소중한 의견을 주시어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발전에 기여해주십사 요청 드립니다. - 아 래 - 제목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백본 고도화를 위한 사용자(실무자, 연구자) 수요 설문 요청 설문 대상 : KREONET을 사용하고 있는 실무자, 연구자 혹은 수요기관 및 연구자 주요내용 : - 향후(2026 ~ 2029년) 연구 및 사용기관에서 필요한 네트워크 수요 조사 - KREONET에 필요한 네트워크 서비스 수요 조사 - 첨부한 설문지(5~8 page)를 작성하여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사무국으로 회신 설문기간 : 2025년 4월 16일(수) 까지 제출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사무국 (helpdesk@kreonet.net) 문의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사무국 (042-869-0705) 감사합니다.
-
[안내] (기간연장) 2025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 2025. 03. 05 View. 48607
- 2025년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 기간을 3월 28일까지로 연장하였습니다. ----------------------------------------------------------------------- 2025년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 시작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귀 기관에서 수행하는 우수한 과학기술 개발과 첨단연구 수행의 네트워킹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5년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을 공모하여 선정하고자 합니다.가. 목 적○ 국가과학기술명구망 회원지침 ‘제5조 연구회원’ 근거○ 국내 우수한 첨단연구 및 협업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지원기관을 선정하여 1년간(2025년 12월 말까지)간 기가급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서비스 제공○ 기가급 연구전용접속 회선 및 네트워크 인프라, 네트워크 활용기술 지원○ 글로벌 협업연구 수행이 가능한 국제 연구네트워크 환경 지원나. 지원 내용○ 국내외 연구기관간 초고속 접속 및 대용량 데이터전송이 가능한 기가급 KREONET(1G-100G) 인프라 지원○ KREONET 구축, 활용, 효율적 협업연구 환경 구현에 필요한 네트워크 사용자 요구기술지원 및 컨설팅○ KREONET 중심 연구의 성능향상 지원을 위한 첨단 네트워킹 기술 서비스 ※ KREONET 네트워킹 서비스(네트워크 구축/운영 컨설팅 서비스, 국제연구망 서비스, 전용망 서비스, 파일전송 서비스, 망성능 모니터링 서비스) 및 KREONET T&I 서비스(KAFE(연합인증), Webinar, eduroam) 등다. 지원 대상○ 3대게임체인저기술*등 12대국가전략기술**연구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 및 연구 프로젝트○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 데이터 기반의 거대 과학(Data-Intensive Science) 연구○ 국내는 물론 글로벌 협업이 요구되는 협업 중심의 과학기술 연구 프로젝트○ 기존 인터넷에서는 수행하기 힘든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과학기술 연구 ○ 과학기술 간 혹은 과학기술과 인문, 사회, 예술분야 등 다학제 간 융합을 요구하는 연구 *3대게임체인저기술: AI반도체,첨단바이오,양자 **12대국가전략기술 :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차세대통신, 인공지능, 첨단바이오, 차세대원자력, 모빌리티, 첨단로봇 제조, 사이버 보안, 양자, 우주항공해양, 수소 라. 지원 방법○ 첨부된 '2025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활용계획서'를 작성하여 KREONET 사무국으로 이메일(secretary@kreonet.net) 접수마. 주요일정○ 신청서 접수 기한: 2025년 3월 21일(금) -> 3월 28일(금) 으로 연장○ 평가일/평가방법: 2025년 3월 31~4월 4일 (내외부 전문가 선정위원회 개최)○ 선정기관 통보: 2025년 4월 7일(월) (연구책임자 전자메일 통보)○ 2025년 4월 7일 ~ 연중 : 2025년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진행(회선연동 및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공모 일정을 1주일간 연장함에 따라 이후 일정도 1주일간 뒤로 밀리게 되었습니다.바. 문의○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사무국 : 042-869-0705, helpdesk@kreone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