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비주얼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KREONET(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전국 18개 지역망센터를 거점으로 하여 구간별 최소 200Gbps에서 최대 1.2Tbps 전송이 가능한 백본망으로 국제연구망을 통해 전세계 약 30,000여개의 연구네트워크와 직접 연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IX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고성능연구망서비스는 물론 인터넷서비스를 약 200여개 연구망 가입기관에게 동시에 제공합니다.
READ MORE -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KREONet2
2005년 고에너지물리, 천문우주, 기상기후, 핵융합 등 거대과학연구분야 글로벌 협업연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네덜란드 등15개국 연구망 참여하여 전 세계를 10기가급으로 연동하는 GLORIAD 프로젝트와 함께 시작하였습니다.
READ MORE -
과학기술연구망 운영센터
KREONET-NOC
과학기술연구망 운영센터(NOC, Network Operation Center)는 1988년 과학기술연구망사업이 시작된 이래, 24x7x365 과학기술연구망의 중단없는 안정적 서비스 제공 및 연구망 사용자에 대한 기술지원을 위해 운영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하여 왔습니다.
READ MORE -
연구교육인증연합
KAFE(Korean Access Federation)
국내외 산·학·연 기관의 과학기술 및 데이터 플랫폼들에 접근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신뢰 기반의 아이디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고성능 VPN 서비스
KREONET VPN Service
과학기술연구망은 전송성능보장 및 보안성 강화를 위해 L1/L2/L3 기반의 고성능 VP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비스
Network Slicing Services
과학기술연구망은 KREONET-S 광역 SDN 인프라를 통해 가상전용망(VDN, Virtual Dedicated Network) 기반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글로벌무선로밍서비스
eduroam
에듀롬은 소속기관의 와이파이(WIFI) 접속정보로 전세계 euroam 연계기관의 와이파이를 무료로 이용하는 서비스입니다. 미국 및 유럽의 대부분의 연구교육기관은 에듀롬과 연계되어 있으며, 국내 대학 또한 다수 연계되어 있습니다.
READ MORE -
대용량데이터전송솔루션
Globus
과학기술연구망은 협업 연구기관 간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 기능을 SaaS(Software as a Service) 방식으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데이터 전송 플랫폼 서비스(Globus)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성능측정 및 모니터링
perfSONAR
KREONET은 여러가지 네트워크 성능지표를 상시로 모니터링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perfSONAR(퍼프-소나) 기반의 네트워크 전송성능 모니터링 인프라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
도메인네임서비스
KREONET DNS
DNS는 특화된 서버를 사용해 www.kreonet.net 과 같은 도메인을 숫자 주소로 해석해 데이터 및 정보가 그 목적지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DNS 서비스 입니다. DNS는 각 나라의 핵심 인프라, 온라인 비지니스, 뱅킹 등과 같은 인터넷 기반 통신의 핵심적 부분을 차지합니다.
READ MORE
-->
-->
Support Cases for Advanced Applications on KREONET
KREONET NEWS
LEARN MORE2025.10.10.
Keycloud IAM으로 과학연구 로그인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소셜 계정으로 여러 외부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것은 이제 일상이 되었다. 하지만 과학연구 분야에서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자들은 하나의 연구 프로젝트나 연구 도메인 내에서 데이터 분석 도구, 슈퍼컴퓨터, 연구 자료 저장소 등 수십 개의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각각 별도의 계정과 비밀번호를 관리해야 한다. Keycloud IAM은 단일 연구도메인 내에서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Keycloud IAM 소개 Keycloud IAM은 과학연구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 시스템이다. 구글이나 네이버 로그인이 여러 외부 사이트에 계정을 연동하는 멀티 도메인 방식이라면, Keycloud IAM은 하나의 연구도메인 내 모든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즉, 연구자들이 특정 연구도메인의 다양한 플랫폼과 서비스에 하나의 계정으로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도메인 통합 로그인' 시스템이다. Keycloud IAM을 개발하기 위해 Indigo IAM(INFN, 이탈리아 국립핵물리연구소)과 Keycloak IAM(Red Hat/CNCF)이 벤치마킹되었다. Indigo IAM의 과학연구 특화 기능과 Keycloak IAM의 안정성을 결합하되, 다양한 연구 환경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설계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인증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연구 인프라와 유연하게 통합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다. Keycloud IAM의 필요성 연구 협업의 효율성 증대 과학연구는 팀 단위로, 때로는 여러 기관이 함께 진행한다. 이런 협업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연구도메인 내 여러 시스템을 공동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때마다 다른 로그인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면 시간 낭비와 정보 관리의 부담이 커진다. Keycloud IAM은 연구도메인 내 모든 시스템에 하나의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하여, 로그인 정보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빠른 연구진입을 가능하도록 돕는다. 보안 강화 연구 데이터는 기밀성이 중요하다. 특히 신약 개발이나 첨단 기술 연구의 경우 데이터 유출은 치명적이다. Keycloud IAM은 다요소 인증을 지원하고 강화된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접근의 기밀성을 높인다. TOTP(시간에 따라 바뀌는 일회용 비밀번호)를 통한 2단계 인증으로 비밀번호가 유출되어도 계정을 보호하고, 권한 정책 관리 체계를 개발해 각 사용자가 필요한 자원에만 접근하도록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국제 표준 준수 국제 공동연구를 위해서는 시스템 간 호환성이 중요하다. Keycloud IAM은 SAML 2.0(서로 다른 시스템 간 안전한 로그인 정보 전달 표준)과 OIDC(최신 인증 표준 규격)를 지원한다. 덕분에 국제 거대 연구를 수행하는 해외 기관의 연구 인프라와도 호환성을 갖는다. 국제운전면허증처럼 국가 간 경계 없이 통용되는 사용자 인증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주요 기능 다양한 로그인 방식 지원 Keycloud IAM은 연구도메인 내부 계정뿐만 아니라 외부 인증 방식도 활용할 수 있다.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는 Google이나 Naver 계정으로도 연구도메인에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KAFE를 통해 대학 계정으로도 접속할 수 있고, eduGAIN(국제 연구교육 연합 인증)과 연동되어 해외 기관 소속 연구자들도 자신의 기관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맞춤형 권한 관리 Keycloud IAM은 연구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연구자별 또는 연구그룹별로 관리할 수 있다. 개별 연구자에게는 데이터 읽기, 쓰기, 실행 등 필요한 권한만 부여할 수 있고, 연구그룹별로는 동일한 스토리지나 특정 컴퓨팅 자원에 대한 공유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젝트 책임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팀원들을 초대하고 연구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조정할 수 있다. SSH 접속 지원 많은 연구자들이 서버에 원격 접속할 때 SSH를 사용한다. Keycloud IAM은 외부 LDAP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동기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여러 서버와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통합 인증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SSH 로그인 시에도 다요소 인증을 적용할 수 있도록 TOTP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보다 안전한 서버 접속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빠른 처리 속도 거대 과학연구 시설에는 수천 명의 연구자가 동시에 접속한다. 연구자가 시스템을 사용할 때마다 접속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런 확인 요청이 초당 수십 개씩 쏟아진다. Keycloud IAM은 자주 확인되는 권한 정보를 임시 저장(caching)하고, 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병렬 처리)하는 방식으로 속도를 높였다. 활용 분야 Keycloud IAM은 이질적 연구 환경에서 통합 인증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Kubernetes 같은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과 권한 관리를 지원하고, 실험 데이터 시각화 도구나 전자 실험 노트 같은 웹/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통합 인증을 제공하며, 컴퓨팅 자원에 대한 SSH 접속을 중앙에서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개발 현황 전체 계획 대비 약 70%의 개발이 완료되었다. 핵심 인증 기능은 이미 프로덕션 수준으로 구현되었고, SSH 로그인, 정책 관리 시스템 연동, LDAP 동기화 기능은 프로토타입 개발이 진행 중이다. 11월 초 KREONET 워크숍에서 주요 기능을 시연하며, 향후 국내외 과학연구 커뮤니티에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10 2025.10.
첨단 모빌리티 실증을 위한 인터도메인 SDN 연동24 2025.09.
[행사 안내] OST 2025 (Open Source Tech Day 2025)22 2025.09.
AI 고속도로 ‘네트워크 대동맥’으로 완성해야첨단연구지원
첨단연구지원은 우수한 첨단연구 및 글로벌 협업연구기관을 선정하여 도전적 모험연구 및 다학제적 연구지원 강화 핵심연구 및 국가과학자 육성과 미래 환경 변화와 글로벌 메가트랜드에 대응이 가능한 국내의 특성에 맞는 네트워킹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Publication더보기
2024년 KREONET 첨단연구지원 성과사례집
-
Data더보기
GCSv5 기반의 Globus 서비스 설치 및 활용
GCSv5 기반의 Globus 서비스 설치 및 활용 (Globus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based on GCSv5)
-
Gallery더보기
2025년도 상반기 KREONET 실무자협의회 워크숍
TERA KREONET for Accellera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Science Discovery
1988년 국내 최초,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한 IT 강국의 초석 KREONET!
READ MORE- 196기관
KREONET 활용 기관(`25.07)
- 18개 지역
전국 지역망센터
- 5개 지역
국제 PoP
- 36,000
글로벌 네트워크
- 344,576명
KREONET 활용 사용자(IPv4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