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메인 비주얼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KREONET(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전국 18개 지역망센터를 거점으로 하여 구간별 최소 200Gbps에서 최대 1.2Tbps 전송이 가능한 백본망으로 국제연구망을 통해 전세계 약 30,000여개의 연구네트워크와 직접 연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IX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고성능연구망서비스는 물론 인터넷서비스를 약 200여개 연구망 가입기관에게 동시에 제공합니다.

    READ MORE
  •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KREONet2

    2005년 고에너지물리, 천문우주, 기상기후, 핵융합 등 거대과학연구분야 글로벌 협업연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네덜란드 등15개국 연구망 참여하여 전 세계를 10기가급으로 연동하는 GLORIAD 프로젝트와 함께 시작하였습니다.

    READ MORE
  • 과학기술연구망 운영센터

    KREONET-NOC

    과학기술연구망 운영센터(NOC, Network Operation Center)는 1988년 과학기술연구망사업이 시작된 이래, 24x7x365 과학기술연구망의 중단없는 안정적 서비스 제공 및 연구망 사용자에 대한 기술지원을 위해 운영 역량을 지속적으로 향상하여 왔습니다.

    READ MORE
  • 연구교육인증연합

    KAFE(Korean Access Federation)

    국내외 산·학·연 기관의 과학기술 및 데이터 플랫폼들에 접근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한 신뢰 기반의 아이디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고성능 VPN 서비스

    KREONET VPN Service

    과학기술연구망은 전송성능보장 및 보안성 강화를 위해 L1/L2/L3 기반의 고성능 VP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비스

    Network Slicing Services

    과학기술연구망은 KREONET-S 광역 SDN 인프라를 통해 가상전용망(VDN, Virtual Dedicated Network) 기반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글로벌무선로밍서비스

    eduroam

    에듀롬은 소속기관의 와이파이(WIFI) 접속정보로 전세계 euroam 연계기관의 와이파이를 무료로 이용하는 서비스입니다. 미국 및 유럽의 대부분의 연구교육기관은 에듀롬과 연계되어 있으며, 국내 대학 또한 다수 연계되어 있습니다.

    READ MORE
  • 대용량데이터전송솔루션

    Globus

    과학기술연구망은 협업 연구기관 간 대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 기능을 SaaS(Software as a Service) 방식으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데이터 전송 플랫폼 서비스(Globus)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 성능측정 및 모니터링

    perfSONAR

    KREONET은 여러가지 네트워크 성능지표를 상시로 모니터링하고 테스트하기 위해 perfSONAR(퍼프-소나) 기반의 네트워크 전송성능 모니터링 인프라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 도메인네임서비스

    KREONET DNS

    DNS는 특화된 서버를 사용해 www.kreonet.net 과 같은 도메인을 숫자 주소로 해석해 데이터 및 정보가 그 목적지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DNS 서비스 입니다. DNS는 각 나라의 핵심 인프라, 온라인 비지니스, 뱅킹 등과 같은 인터넷 기반 통신의 핵심적 부분을 차지합니다.

    READ MORE
  • --> -->

Support Cases for Advanced Applications on KREONET

KREONET NEWS

LEARN MORE

2025.10.10.

Keycloud IAM으로 과학연구 로그인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소셜 계정으로 여러 외부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것은 이제 일상이 되었다. 하지만 과학연구 분야에서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자들은 하나의 연구 프로젝트나 연구 도메인 내에서 데이터 분석 도구, 슈퍼컴퓨터, 연구 자료 저장소 등 수십 개의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각각 별도의 계정과 비밀번호를 관리해야 한다. Keycloud IAM은 단일 연구도메인 내에서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Keycloud IAM 소개 Keycloud IAM은 과학연구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 시스템이다. 구글이나 네이버 로그인이 여러 외부 사이트에 계정을 연동하는 멀티 도메인 방식이라면, Keycloud IAM은 하나의 연구도메인 내 모든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즉, 연구자들이 특정 연구도메인의 다양한 플랫폼과 서비스에 하나의 계정으로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도메인 통합 로그인' 시스템이다. Keycloud IAM을 개발하기 위해 Indigo IAM(INFN, 이탈리아 국립핵물리연구소)과 Keycloak IAM(Red Hat/CNCF)이 벤치마킹되었다. Indigo IAM의 과학연구 특화 기능과 Keycloak IAM의 안정성을 결합하되, 다양한 연구 환경에 맞춰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게 설계했다. 이를 통해 국내외 다양한 인증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확보하고, 연구 인프라와 유연하게 통합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다. Keycloud IAM의 필요성 연구 협업의 효율성 증대 과학연구는 팀 단위로, 때로는 여러 기관이 함께 진행한다. 이런 협업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이 연구도메인 내 여러 시스템을 공동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때마다 다른 로그인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면 시간 낭비와 정보 관리의 부담이 커진다. Keycloud IAM은 연구도메인 내 모든 시스템에 하나의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하여, 로그인 정보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빠른 연구진입을 가능하도록 돕는다. 보안 강화 연구 데이터는 기밀성이 중요하다. 특히 신약 개발이나 첨단 기술 연구의 경우 데이터 유출은 치명적이다. Keycloud IAM은 다요소 인증을 지원하고 강화된 접근 권한 관리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접근의 기밀성을 높인다. TOTP(시간에 따라 바뀌는 일회용 비밀번호)를 통한 2단계 인증으로 비밀번호가 유출되어도 계정을 보호하고, 권한 정책 관리 체계를 개발해 각 사용자가 필요한 자원에만 접근하도록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국제 표준 준수 국제 공동연구를 위해서는 시스템 간 호환성이 중요하다. Keycloud IAM은 SAML 2.0(서로 다른 시스템 간 안전한 로그인 정보 전달 표준)과 OIDC(최신 인증 표준 규격)를 지원한다. 덕분에 국제 거대 연구를 수행하는 해외 기관의 연구 인프라와도 호환성을 갖는다. 국제운전면허증처럼 국가 간 경계 없이 통용되는 사용자 인증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주요 기능 다양한 로그인 방식 지원 Keycloud IAM은 연구도메인 내부 계정뿐만 아니라 외부 인증 방식도 활용할 수 있다. 접속이 허용된 사용자는 Google이나 Naver 계정으로도 연구도메인에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KAFE를 통해 대학 계정으로도 접속할 수 있고, eduGAIN(국제 연구교육 연합 인증)과 연동되어 해외 기관 소속 연구자들도 자신의 기관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맞춤형 권한 관리 Keycloud IAM은 연구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연구자별 또는 연구그룹별로 관리할 수 있다. 개별 연구자에게는 데이터 읽기, 쓰기, 실행 등 필요한 권한만 부여할 수 있고, 연구그룹별로는 동일한 스토리지나 특정 컴퓨팅 자원에 대한 공유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젝트 책임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팀원들을 초대하고 연구 시스템에 대한 접근 권한을 조정할 수 있다. SSH 접속 지원 많은 연구자들이 서버에 원격 접속할 때 SSH를 사용한다. Keycloud IAM은 외부 LDAP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동기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여러 서버와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통합 인증 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SSH 로그인 시에도 다요소 인증을 적용할 수 있도록 TOTP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보다 안전한 서버 접속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빠른 처리 속도 거대 과학연구 시설에는 수천 명의 연구자가 동시에 접속한다. 연구자가 시스템을 사용할 때마다 접속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런 확인 요청이 초당 수십 개씩 쏟아진다. Keycloud IAM은 자주 확인되는 권한 정보를 임시 저장(caching)하고, 여러 요청을 동시에 처리(병렬 처리)하는 방식으로 속도를 높였다. 활용 분야 Keycloud IAM은 이질적 연구 환경에서 통합 인증 시스템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Kubernetes 같은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인증과 권한 관리를 지원하고, 실험 데이터 시각화 도구나 전자 실험 노트 같은 웹/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통합 인증을 제공하며, 컴퓨팅 자원에 대한 SSH 접속을 중앙에서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개발 현황 전체 계획 대비 약 70%의 개발이 완료되었다. 핵심 인증 기능은 이미 프로덕션 수준으로 구현되었고, SSH 로그인, 정책 관리 시스템 연동, LDAP 동기화 기능은 프로토타입 개발이 진행 중이다. 11월 초 KREONET 워크숍에서 주요 기능을 시연하며, 향후 국내외 과학연구 커뮤니티에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보도자료

15
LEARN MORE
  • 20250922095753799.jpg AI 고속도로 ‘네트워크 대동맥’으로 완성해야

    2025-09-22

    대한민국이 또 한 번의 국가적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1970년대 산업화의 동맥이었던 경부고속도로, 2000년대 정보기술(IT) 강국의 초석이 된 정보고속도로에 이어, 이제 ‘인공지능(AI) 고속도로’라는 새로운 시대의 인프라를 건설하고 있다. AI 고속도로는 국가 전역에 초고성능 AI 컴퓨팅 자원과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게 공급해 산업과 사회 전반의 AI 대전환을 이끄는 핵심 기반이다. 프로젝트의 첫 단추는 성공적으로 꿰어지고 있다. AI의 핵심 두뇌 역할을 하는 데이터센터와 그래픽처리장치(GPU) 인프라 구축이 민관 협력 모델을 통해 속도감 있게 진행 중이다. 광주·울산·대구·예천 등 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전국적으로 균형 있는 고성능 AI 컴퓨팅 인프라를 마련한다. 그러나 AI 고속도로는 단순히 데이터센터라는 ‘거점’만으로 완성되지 않는다. 이 거점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지연 없이 실어 나를 ‘대동맥’, 즉 국가 차원의 초고속 네트워크 인프라가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데이터센터가 아무리 최첨단 GPU로 채워져 있다고 해도, 이를 연결하는 도로가 좁고 끊겨 있다면 무용지물이다. 정부가 ‘국민성장펀드’를 통해 마련하는 150조원의 첨단전략산업 재원 내에서 AI데이터센터 및 첨단산업단지 등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에 적극 참여하는 계획을 세운 것도 이러한 현실적 고민에서 출발한다. 다행히 정부는 이미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통해 17개 지역 거점을 기반으로 연구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전송 가능한 보이지 않는 데이터 고속도로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정부가 민관 협력으로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으로 확보하는 약 1만5000장의 GPU 외에, 공공 부문에서는 2026년 상반기까지 국가 슈퍼컴 6호기 구축을 통해 추가로 약 8500장을 확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KREONET은 국가슈퍼컴퓨팅 전문센터들과 200여 개 국내 공공·연구기관을 연결해 공공 부문의 AI 컴퓨팅 인프라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GPU 활용성을 극대화한다. AI 고속도로의 성공은 국가의 명운이 걸린 일이다. 최첨단 데이터센터 구축이라는 성과에 안주해서는 안 된다. 데이터센터들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접근성과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기간 인프라 확충에 충분한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다. AI 데이터센터라는 ‘심장’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전국 각지의 산업과 연구 현장이라는 ‘모세혈관’까지 막힘없이 전달할 AI에 최적화한 초고성능 네트워크 ‘대동맥’이 완비될 때 대한민국은 세계를 선도하는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  [출처: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68111

  • 20250804134951616.jpg KISTI/KREONET 연구소기업, 대기업 엄두 못낸 '데이터 전용도로' 독보적 기술 신생벤처 '트렌토 시스템즈' 6G 블루칩 '우뚝'

    2025-08-04

    산업용 솔루션 및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 혁신 블루칩 '트렌토 시스템즈' SDN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로 효율적 트래픽 분배 스마트팩토리, 자율주행, 모바일 게임 등 서비스 품질 향상 기대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이 드문 네트워크 장비 시장에 도전장을 낸 김영재 트렌토 시스템즈 대표.[사진=이원희 기자] 바야흐로 데이터의 시대,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며 2025년에는 연간 데이터 생산량이 170~180 제타바이트(ZB) 가량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요한 정보만을 전문 전자기기에 저장해왔던 시기와 달리, 이제는 일상의 사소한 메시지와 행동 하나하나까지 스마트폰, PC, 웨어러블 기기 등을 통해 데이터화되고 있다. 데이터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이를 전송하는 인프라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데이터는 물리적인 형태가 없다보니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인식이 있지만, 서버부터 케이블까지 관련 통신 장비들이 투입된다. 즉 데이터가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더 많은 장비들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정된 통신 인프라 속에서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전송 속도와 품질은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 가운데 체계화된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기반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로 자체 개발한 5G 제품인 micro-5G(μ-5G & SmallCell)와 기존의 WiFi 단점인 이동성을 이동통신 수준으로 개선한 제품인 SDFi 솔루션에 맞춤형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목받는 기업이 있다. 5G 시대, 그리고 그 너머 데이터 시대의 유무선 경계가 없는 통합 네트워크를 책임질 트렌토 시스템즈(대표 김영재)가 그 주인공이다. ◇ 전용 데이터 채널로 전송 품질 및 속도 저하 막는다 "버스전용차로와 같이 특정 데이터의 전용 루트가 있다면 어떨까요? 사용자가 많이 몰리거나, 데이터의 용량이 커도 쾌적하게 고객이 요구하는 시간에 맞추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데이터가 더 늘어날 미래시대에는 더욱 더 필요성이 늘어날 기술이죠."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하며 등장한 SDN 기술은 기존 하드웨어가 갖는 제약을 해결했다. 기존 네트워크의 기본 구성 장비인 제어부(Control Plane)와 전송부(Data Plane)를 분리하고, 이를 소프트웨어를 통해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형태다. 스위치, 라우터 등 각각의 하드웨어들이 개별 네트워크를 갖고 있던 것을 최적화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제품 성능 및 설계에 따른 복잡성을 해소하여 네트워크를 지능화하면서 데이터의 전달 지연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SDN이 모든 네트워크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를 차량으로 비유할 경우, 출퇴근 시간에만 교통량이 늘어나는 도로의 차선을 무작정 늘릴 수는 없다. 차선을 늘려도 교통량이 순간 몰리면 정체가 생기는 구간이 있기 마련이며, 정체 시간이 아닌 시간에는 평소 교통량에 비해 오히려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즉, 데이터 역시 데이터의 도로에 해당하는 대역폭을 늘리기만 해선 능사가 아니라는 뜻이다.   트렌토 시스템즈의 기술은 특정 데이터를 슬라이싱하여 독립된 전용 네트워크를 적용한다. 마치 고속도로에서 버스만 운행할 수 있는 버스전용차로와 같다.[사진=트렌토 시스템즈 제공] 김영재 대표는 이를 '전용차로'에 빗댔다. 그는 "버스전용차로처럼 특정 시간이나 기간에만 운영하는 전용도로의 경우, 교통량이 몰려도 원활한 통행이 가능하다"며 "이를 데이터에 적용하면, 특정 데이터만을 위한 전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량에 관계 없이 원활한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기존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정책정보에 따라 정적인 트래픽 경로 서비스가 제공됐다. 호스트나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정해진 트래픽 배분이 이뤄졌다. 즉, 다양한 데이터가 동시에 몰려도 차례차례 처리가 이뤄진다는 뜻이다. 반면 트렌토 시스템즈의 'SDN 기술을 적용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은 네트워크 장치의 서비스 포트 단위를 기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 및 분류하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자율주행차량, 배송로봇등 정보가 수집된 채널에 따른 분류를 비롯해 빠른 전송 및 처리가 이뤄져야 하는 데이터에 네트워크 슬라이싱 서비스를 적용하여 서비스 우선순위에 따라 대역폭을 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SDN 기반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은 기존 유무선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을 높일 뿐만 아니라 5G/6G에서 가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율주행, 배송로봇, 스마트 공장등의 애플리케이션에 맞춤형 서비스로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김 대표는 "기가급 인터넷 서비스나 5G 스마트폰 요금제를 이용하더라도 트래픽으로 인해 낮은 데이터 전송속도가 나오기도 한다"며 "SDN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활용하면 독자적인 전송 대역폭 배정을 통해 다양한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정적인 전송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트렌토 시스템즈는 SDN 기반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자체 개발한 모빌리티 전용 사설망 SDFi 제품을 KAIST의 원격제어 자율주행을 위한 차량 내부 및 외부 네트워크 솔루션으로 공급하였다. 이를 통해 트렌토 시스템즈, KISTI, KAIST는 최근(2024년 12월) 대전 관제센터에서 약 400km 떨어진 제주의 차량을 복잡하고 협소한 도로 환경에서 지연 없이 실시간 운전 실증에 성공하며 미래 기술인 6G 요구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높은 기술 수준을 입증했다. 산업계의 활용도 기대된다. 김 대표는 "자율주행자동차를 포함한 첨단모빌리티, 클라우드 기술을 접목한 로봇, 스마트팩토리, 클라우드 기반 게임 서비스 등 빠르고 많은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을 이어나갈 것"이라며 "AI 기술을 접목해 소비자 맞춤형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먼 이야기 같은 5G와 6G를 보다 가까운 현실로 트렌토 시스템즈는 지난 2020년 KISTI와 한국과학기술지주의 투자를 통해 설립됐다. 대기업 출신인 김 대표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5G 및 6G 시대의 핵심 네트워크 기술 개발을 주력으로 한 출발이었다. 다만 초창기의 시장 진입은 쉽지 않았다. 4G 시대를 지나며 차세대 5G 기술에 대한 언급은 많이 이뤄졌지만, 실제 기술력이 시장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네트워크 장비 시장은 대형 통신장비 제조사가 주도하며, 5G 시대가 도래하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통신 네트워크 제품과 기술을 공급할 스타트업은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이로 인해 신생기업인 트렌토 시스템즈의 기술과 제품에는 '아직 미성숙한 5G 시장에 도전한 스타트업'이라는 선입견이 적용됐다.   트렌토 시스템즈의 기술은 자율주행을 비롯해 스마트팩토리, 클라우드 기반 게임 서비스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사진=트렌토 시스템즈 제공]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돌파구를 함께 마련해준 곳이 KISTI다. 김 대표는 "KISTI가 함께 해준 초기 기술 투자의 경우 시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수준이 높았다"며 "또한 KREONET과 같이 과학기술연구망 서비스도 보유하고 있어 보다 고도화된 기술 접목과 개발한 기술을 현장에서 실증이 가능하여 빠르게 상품화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초창기 연구인력이 많이 부족했던 상황에서 KISTI의 수준 높은 연구협력 및 지원 역시 빛을 발했다. 김 대표는 "안정적인 기술력이 뒷받침되며 현대중공업기술공모전 우수상, 2022년 스타트업 패스파인더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산업통상자원부의 신기술 인증, 중소벤처기업부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미래모빌리티 분야 기업 선정을 받는 등 관련 분야에서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며 "지난 2023년 대전광역시의 실증과제를 KISTI와 함께 공동 수주했으며, 향후 KAIST와도 함께 원격제어 자율주행을 위한 V2N2X(Vehicle to Network to Everything) 솔루션 개발을 이어나갈 계획이다"라고 소개했다. 다가오는 차세대 정보통신 시대. 김 대표는 5G와 6G 너머의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아직 5G는 아직 시장의 기술과 대중의 인식 사이의 간극이 큰 분야입니다. 트렌토 시스템즈는 앞으로 이러한 간극을 좁혀감과 동시에 차세대 유무선 네트워크 장비 및 솔루션 대표기업으로서 시장을 선도해나가고자 합니다." 출처 : 헬로디디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235 이원희 기자

  • 2025080413590242.png [KISITI Special] 초거대연구부터 양자컴, 초정밀 광시계까지 초고속으로 잇는다.

    2025-08-04

    연구자들의 연결고리 '국가과학기술연구망' 과학기술연구망센터, 1988년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서비스 도입 및 운영 국내외 연구망을 통해 거대 연구데이터 초고속 전송 및 협력 연구 기여 연말까지 국가데이터교환노드 3개 거점 구축 계획 1988년, 국내 과학기술계가 새로운 변혁을 맞았다. 국방망, 행정망, 금융망 등 우리나라 핵심분야들의 전산망이 갖춰지던 시기에 ‘연구망’이 도입된 것이다. 과학기술계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전용 전산망이 등장하며 국내 최초 TCP/IP 기반 인터넷 서비스 시작을 비롯해 국가 그리드 네트워크,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사업(GLORIAD), 국가람다교환노드(KRLight), 소프트웨어융합형광역연구망(KREONET-S), 연구망 양자암호통신,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등이 탄생하게 됐다. 또한 연구망이 도입됨에 따라 슈퍼컴퓨터 1호기도 본격적으로 도입 및 운영되며 첨단연구인프라로써 KISTI의 두 개의 핵심 연구축이 작동하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하다. 현재는 연구망을 활용하여 매년 수백편의 SCI급 연구논문이 유발됨은 물론 99.9% 이상의 서비스 가용율을 확보하고 첨단 네트워킹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높은 수준의 연구망 서비스 만족도를 지속으로 유지하고 있다. ... https://blog.naver.com/withkisti/223952351884

  • 20250718160946548.JPG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라우터 인증 도입…"보안 강화"

    2025-07-18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라우팅]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산업계의 연구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 '라우터 인증'(RPKI)을 도입했다고 8일 밝혔다. 라우터 인증 또는 '인터넷 주소 자원 공개키 기반 인증'이란 인터넷 주소 자원 보유기관의 IP 주소, 망 식별(AS) 번호를 암호화된 인증서로 발행하고 이 주소의 라우팅 정보에 결함이 없음을 보장하는 보안 기술을 말한다. 연구망에 연결된 IP 주소가 정당한 출처에서만 광고되도록 해, 잘못된 경로 설정이나 악의적 경로 탈취로 인한 보안 위협을 차단할 수 있다. 라우팅 정보가 잘못되면 데이터가 엉뚱한 곳으로 전송되거나 통신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 2020년 러시아에서 구글, 아마존 등 주요 글로벌 서비스들이 라우팅 오류로 장애를 겪었으며, 국내에서도 2021년 KT 전국 인터넷 장애, 2022년 카카오 서비스 장애 등 유사한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조부승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인공지능(AI)과 고성능컴퓨팅(HPC) 기반 대용량 데이터 전송 등 고신뢰 네트워크 서비스를 더욱 안전하게 제공하고, 대규모 공동연구와 글로벌 협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jyoung@yna.co.kr 출처 :  https://www.yna.co.kr/view/AKR20250708110700063?input=1195m [관련기사 바로가기]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RPKI 국내 최초 전면 도입_전자신문(2025.07.08.)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라우팅 인증(RPKI) 전면 도입_아이뉴스24(2025.07.08) KISTI, 국가과기연구망에 '라우팅 인증 RPKI' 전면 도입_뉴시스(2025.07.08)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라우팅 인증' 전면 도입_뉴스1(2025.07.08) 연구망 보안 'UP'···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라우팅 인증' 도입_헬로디디(2025.07.08)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라우팅 인증' 전면 도입_충청뉴스(2025.07.08) KISTI, 국내 최초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라우팅인증(RPKI) 도입_쿠키뉴스(2025.07.08)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보안성 강화_금강일보(2025.07.08) KISTI, 연구망에 ‘라우팅 인증’ 도입…인터넷 보안 강화_디지털타임스(2025.07.08)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국내 최초 라우팅 인증 전면 도입_서울경제(2025.07.08)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에 국내 첫 라우팅 인증 전면 도입_파이낸셜뉴스(2025.07.08) 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보안 강화…경로 위·변조 방지기술 도입_머니투데이(2025.07.08)

  • 20250502095834828.jpg CSAP 획득 엘리스그룹, KISTI와 '국가 AI 네트워크 인프라' 협력

    2025-05-02

    엘리스그룹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KISTI 대전본원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엘리스그룹 박정국 CTO, KISTI 조부승 국가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 [ⓒ 엘리스그룹] [디지털데일리 이건한 기자] AI 교육 솔루션 기업 엘리스그룹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와 AI 인프라 및 데이터센터 운영·연구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NDeX는 대규모 데이터 교환 시 공급자와 소비자의 원활한 연결을 돕는 초고성능 네트워크 인프라다. 기존 인터넷 교환 노드의 데이터 전송 한계를 극복하고 빅데이터 전송 및 교환 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3년부터 KISTI가 운영하고 있다. 엘리스그룹은 자사의 모듈러 데이터센터 'AI PMDC'를 기반으로 지난 AI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가 획득할 수 있는 CSAP IaaS 인증을 획득했다. CSAP는 민간 기업이 국가·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필수로 획득해야 하는 보안 인증이다. KISTI는 엘리스그룹이 AI 서비스와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는 물론, 모듈형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하드웨어까지 독자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이번 협력을 결정했다. 이에 양 기관은 ▲국내 소버린 AI 연구 개발 역량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협력 ▲대용량 대규모 AI 모델 개발을 위한 민간-공공 컴퓨팅 및 네트워크 인프라 협력 ▲기타 상호 공동 관심분야의 융복합 연구에 상호 협력을 추진한다. 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공공∙민간의 경계 없는 대규모 데이터의 공유와 AI 자원의 연계를 촉진하고자 과학기술연구망 및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협약으로 국가데이터교환노드 기반의 AI∙고성능컴퓨팅(HPC) 활용 생태계 조성, 데이터센터∙AI 분야에서 엘리스그룹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재원 엘리스그룹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다양한 연구 기관들이 데이터를 공유하는 생태계 조성에 엘리스 AI 클라우드 인프라가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향후 더 많은 공공기관과 AI 인프라 영역에서 시너지를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건한 기자 sugyo@ddaily.co.kr] 출처 : https://www.ddaily.co.kr/page/view/2025043016121785498 [관련기사 바로가기]  엘리스그룹-KISTI, AI·네트워크 협력 위한 업무협약 체결_테크월드(2025.04.30.) 엘리스그룹-KISTI, LLM 개발 위한 엣지 데이터센터 구축 협력_AI타임스(2025.04.30.) 엘리스그룹,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업무협약 체결_벤처스퀘어(2025.04.30.) 엘리스그룹·KISTI, AI·네트워크 협력 맞손_데이터넷(2025.04.30.) 엘리스-KISTI, NDeX 기반 AI 인프라 공동 구축 추진_헬로티(2025.04.30.) 엘리스그룹, KISTI와 AI∙데이터센터 분야 협력 MOU_뉴스핌(2025.04.30.) 엘리스그룹, KISTI와 AI·데이터센터 분야 업무협약 체결_아시아경제(2025.04.30.) 엘리스그룹, KISTI와 손잡고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AI 연구 협력 강화_이코노믹리뷰(2025.04.30.)

첨단연구지원

  • 첨단연구지원

    고에너지물리

    우주 근원 에너지 분석 연구

    • 대형 강입자 가속기에서 새로운 대칭성 탐사
    • 강입자 충돌, 경입자 충돌, 우주배경복사 입자물리학 연구
    • 격자 게이지 이론 연구단 Lattice Gauge Theory Center
    • + 외 12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천체우주

    차세대 우주 거대구조 및 천문 관측 연구

    • 국내외 초장기선 전파간섭계를 이용한 우주 초미세구조 연구
    • 외계행성 탐색시스템 운영
    • 은하 생성 및 진화 연구를 위한 우주론적 수치모의실험
    • + 외 5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게놈바이오

    미래를 대비하는 생명 유전체 연구

    • 강북삼성코호트를 통한 건강한 성인의 유전체 데이터 구축
    • 국제 컨소시움을 통한 여러 암종별 인간 전장 유전체 데이터 분석
    • 첨단연구망 활용을 통한 WGS 대용량 데이터 기반 만성질환 유전자 발굴
    • + 외 10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첨단의료

    우수 의료진 육성 및 의료기기와 의료자원의 활용 확대

    • 초고속연구망을 이용한 핵의학영상 및 분자영상 연구
    • 실시간 협업중심형 논리망 활용 연구 모델 개발
    • KREONET을 이용한 의생명연구자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KREONET을 이용한 보건의료 연구성과 확산
  • 첨단연구지원

    기상기후

    기후예측과 기상 예보의 정확성 향상

    • 정확·신속한 KBS 재난방송 구현
    • 양방향 둥지격자 기법을 활용한 한반도 계절예보 상세화 연구
    • 재난유형별 의사결정지원 서비스
    • + 외 2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원격교육

    화면을 통한 쌍방향 적인 교육 인프라 지원

    • 공학 연구·교육의 실시간 공유 및 고도화를 위한 사이버 융합연구교육 시스템 활용
  • 첨단연구지원

    건설건축 실험

    토목, 건축분야의 최신기술 데이터 공유

    • 국토교통 연구인프라를 활용한 토목, 건축분야 실험 및 연구
  • 첨단연구지원

    미래 네트워크

    새로운 형태의 차세대 인터넷 기술 연구

    • SDN 환경에서 IoT 단말의 이동성 관리 방안 연구
    • 첨단망을 활용한 대용량 네트워크 트래픽의 실시간 빅데이터 통합 분석
    • K-ONE:SDN/NFV/Cloud 통합 차세대 네트워킹 공개소프트웨어 개발
    • + 외 3개의 연구결과
  • 첨단연구지원

    슈퍼컴퓨팅 자원공동활용

    슈퍼컴퓨팅자원들의 연동과 기술협력체계를 구축

    • 멀티캠퍼스 환경에서의 고성능컴퓨팅 자원 활용 효율화
    • 한국형수치예보 모델에 대한 학·연 연계 모델 진단
  • 첨단연구지원

    빅데이터

    대용량데이터와 미래기술의 융합

    • 국가 간 공존감 지원 실감교류 확장공간 서비스 시범 구현에 관한 연구
READ MORE

첨단연구지원은 우수한 첨단연구 및 글로벌 협업연구기관을 선정하여 도전적 모험연구 및 다학제적 연구지원 강화 핵심연구 및 국가과학자 육성과 미래 환경 변화와 글로벌 메가트랜드에 대응이 가능한 국내의 특성에 맞는 네트워킹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TERA KREONET for Accellera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Science Discovery

1988년 국내 최초,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한 IT 강국의 초석 KREONET!

READ MORE
  • 196기관

    KREONET 활용 기관(`25.07)

  • 18개 지역

    전국 지역망센터

  • 5개 지역

    국제 PoP

  • 36,000

    글로벌 네트워크

  • 344,576

    KREONET 활용 사용자(IPv4 기준)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