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EONET
35년 발자취
2020's
- 2026세계 최고 수준의 테라급 연구망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
- 양자암호통신기술 적용&슈퍼컴퓨팅 공동활용 네트워크 구축
- 2022세계적 수준의 400기가급 연구망 구축 및 서비스
- 2020KREONET 양자암호통신망 개발 시작
2010's
- 2018KREONET ScienceDMZ 서비스 확대
- PRP/APRP/GRP 연계
- 2016아시아 최초 100기가 연구망 구축 및 서비스
- 서울, 대전 포함 5대 광역권 100기가 서비스
- 대전-시카고 국제 100기가 서비스
- ScienceDMZ 서비스 시작
- 2015
소프트웨어 융합형 광역연구망(KREONET-S) 프로젝트 시작
* KREONET SD-WAN 프로젝트
* GSDC/KISTI CERN WLCG Tier1센터 지정
- 2013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 업그레이드
-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애틀/시카고) 10Gbps국제전용망
- 2010서울-대전 100기가(10G*10) 서비스 시작
GENI 프로젝트 참여(K-GENI)* Global Future Internet Testbed
2000's
- 2008과학기술자원융합망 프로젝트 시작
- 2005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개시
- Big GLORIAD 개통(한,미,러,중,캐,네덜란드 등 6개국 참여)
- 한국대표 광람다 게이트웨이(KRLight) 시작
*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애틀) 10Gbps 국제전용망
* 국가e-Science구축사업 개시(Top-Brand 사업)/전담사업기관 지정
- 2003연구망 기가급 백본 구축/서비스
서울-대전 5Gbps급, 그 외 2.5Gbps급
- 2002그리드네트워크 운영센터(GNOC) 및 Access GRID 시스템 구축
* 국가 그리드사업 전담기관 지정
- 2001KREONET-KOREN 5개 지역 연동, KREONET/APII Testbed 구축(일본, 싱가폴, 유럽), 국제 차세대연구망서비스를 위한 STAR TAP(한-미) 45Mbps 개통
- 2000연구망 15개 지역망센터 연동확장:10Mbps ~ 155Mbps
1990's
- 1993한국전산망 보안 대응센터(CERT-KOREA) 발족
- 1992국가연구전산망협의회 구성
- 1991국제 인터넷 전용 케이트웨이 개통 및 서비스
아시아 최초의 유럽전용망 개통, 3개 대륙 연동 글로벌초고속연구망 시대 진입
- NSFNET/CERNet(SDSC, 56kbps, '91)
- EuroPaNET(ULCC/DANTE, 64kbps, '94)
- IMNET(JST/STA, 256kbps, '95)
- 1990연구전산망 10개 지역망센터 개통 및 국제전용회선 인터넷 서비스
- 서울, 대전, 부산, 광주, 대구 등 56kbps ~ 1.544Mbps 개통
- 56kbps 국제전용링크 개통(한국 SDN/HANA노드 - 미국 하와이 PACCOM노드)
1980's
- 1988국가 연구전산망구축(KREONET) 사업 착수
- 서울-대덕연구단지 중심 국가지원 TCP/IP 기반 네트워크 인터넷 서비스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