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혁
-
2016.10
- KISTI/KREONet2 – SURFnet(네덜란드연구망) MoU 체결
-
2016.8
- LHCONE (LHC Open Networking Environment) 서비스 시작
-
2016.6
- KISTI/GLORIAD-KR & TEIN MoU 체결 (GLORIAD-KR & TEIN 연동, ‘15.12)
-
2016.3
- GEANT 연동 협약 및 10Gbps 연동
-
2016.2
- 아시아 최초 아시아(대전)-북미(시카고) 100Gbps 개통, 10Gbps급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애틀/시카고)-네덜란드(암스테르담) 구축, KRLight 유럽 암스테르담 노드 확장
-
2015.11
- KISTI/KREONet2 & Internet2(미국연구교육망) MoU 체결
-
2015.5
- GSDC/KISTI - CERN 10Gbps LHCOPN (LHC Optical Private Network) 개통
-
2013.8
- 제36회 APAN(Asia-Pacific Advanced Network) Meeting 개최
-
2013.2
- 10Gbps급 중국(홍콩)-한국(대전)-미국(시애틀/시카고) 구축, KRLight 북미 시카고 노드 확장
-
2012.3
- GSDC/KISTI - CERN 1Gbps 전용망 개통
-
2009.10
- 9th Annual Global LambdaGrid Workshop 개최
-
2009.8
- GLORIAD-Taj 프로젝트(남반구 링네트워크) 시작
-
2005.8
-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네덜란드 6개국이 참여하는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BIG GLORIAD 프로젝트) 구축
중국(홍콩) - 한국(대전) - 미국(시애틀) 10Gbps 연동, GLORIAD 협약 체결, 한국대표 국제람다교환노드(KRLight) 구축
-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네덜란드 6개국이 참여하는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BIG GLORIAD 프로젝트) 구축
-
2001.5
- 한국(KREONet2/KOREN)-미국(STAR TAP, EVL/UIC)간 45Mbps 연동 (STARTAP 프로젝트)
-
1995.10
- IMNET(JST/STA, 일본과기청/KDD 네트워크센터) 256kbps 연동 (JKORN 프로젝트)
-
1994.5
- EuroPaNET(ULCC/DANTE, 런던대학컴퓨팅센터) 64kbps 연동 (EKORN 프로젝트)
-
1991.6
- NSFNET/CERFNet(SDSC, 샌디에고슈퍼컴퓨팅센터) 56kbps 연동 (UKORN 프로젝트)
-
1991
- 한국 SDN/HANA노드 - 미국 하와이 PACCOM노드 56kbps 국제전용링크 개통
-
1988
- 연구전산망사업 시작
개요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KREONet2)는 미국 NSF의 지원 하에 2005년 한국, 미국, 중국, 러시아, 캐나다, 네덜란드 등이 참여하는 지구 북반구를 10기가급 링 네트워크로 연동하는 BIG GLORIAD를 시작된 이후 북유럽 5개국 등 15개국으로 확대
※ GLORIAD : Global Ring Network for Advanced Applications Development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
고에너지물리, 천문우주, 게놈바이오, 기상기후, 핵융합에너지, 의료과학 초기단계의 단순한 협업연구를 벗어나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분산 처리하고 공간은 물론 시간적인 제약에서 벗어나 전 세계의 연구자와 지속적인 글로벌 공동연구를 가능하게 함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첨단협업연구분야]
현재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은 GLORIAD 컨소시엄 국가와의 협업은 물론, 최근 Internet2/미국연구교육망(MoU, 2015), GEANT/유럽연구교육망(연동협약, 2016), Asi@Connect(MoU, 2016), SINET/일본연구망(MoU, 2016), SURFnet/네덜란드연구망(MoU, 2016) 등 글로벌 연구망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음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연동현황
현재 Internet2/미국연구교육망, ESnet/미국에너지과학연구망, GEANT/유럽연구교육망, CANET/캐나다연구망, NORDUnet/북유럽연구망, SURFnet/네덜란드연구망, Asi@Connect, JGN/일본첨단연구테스트베드, SINET/일본연구망, CSTNET/중국과학연구망, CERNET/중국연구교육망 등 전세계 35개 국제연구망과 직접 연동하고 있으며, 36,000여개의 해외 연구 네트워크와 연동됨
직접연동 네트워크 | 연동대역폭(연동점) | IPv4 | IPv6 | |
---|---|---|---|---|
Unicast | Multicast | Unicast | ||
StarLight | 100Gbps(StarLight) | O | O | O |
Internet2 | O | O | O | |
MREN | O | O | - | |
CERN | O | O | O | |
ESnet | O | O | O | |
TWAREN | O | - | O | |
CA*net4 | O | O | O | |
ASGCNet | O | - | - | |
Internet2 | 10Gbps(PacificWave) | O | O | O |
CA*net4 | O | O | O | |
PNWGP | O | O | O | |
CENIC | O | O | O | |
UltraLight | O | O | O | |
ESnet | O | O | O | |
AARNET | O | O | O | |
NORDUNet | O | - | O | |
REANNZ | O | - | O | |
HK-IX | 10Gbps(HK-IX) | O | - | O |
CUHK | O | - | O | |
HARNET | O | - | O | |
APAN-JP | O | - | O | |
Microsoft | O | - | O | |
ASNet | O | - | O | |
NUS | O | - | O | |
JGN | O | - | O | |
Hurricane Electric | O | - | O | |
HKOX | 10Gbps | O | - | O |
CSTNET | 10Gbps | O | - | - |
CERNET | 1Gbps | O | - | O |
Goolge | 10Gbps | O | - | O |
Asi@Connect | 10Gbps | O | - | O |
GEANT | 10Gbps(NetherLight) | O | O | O |
SURFnet | O | - | O | |
NORDUNet | 10Gbps | O | - | O |
CERN | 10Gbps | O | - | - |
KIAE | 10Gbps | O | - | - |
KREONET | 100Gbps | O | O | O |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직접연동 네트워크 현황]
서비스
- 람다네트워킹서비스(Lambda networking Service)
OTN, SONET, SDH 등의 L1 기술을 통한 단대단 대역폭 보장형 광전송 서비스
- 차세대이더넷서비스(Carrier Ethernet Service)
1:1, 1:M, M:N 등의 토폴로지 상에서의 연결지향형 단대단 품질보장이 가능한 고속 이더넷 서비스
-
R&E IP 서비스(R&E IP Routed Network Service)
타연구망과의 IPv4, IPv6 기반의 피어링(Peering)을 통한 IP 기반 국제연구망간 연동 서비스
※ KREONet2 AS number : 17579 - L2 & L3 트랜짓서비스(L2 & L3 Transit Service)
L2 VLAN 스위칭(Switching) , L3 라우팅(Routing) 기반의 트래픽에 대한 전달 서비스
-
perfSONAR 성능측정서비스(Performance Monitoring Service)
대전, 홍콩, 시애틀, 시카고, 암스테르담 등의 국제 노드간 최대전송율(Throughput), 지연(Round Trip Time , One Way Delay Time), 지터(Jitter) 등에 대한 상시 성능 모니터링 시스템
- PERT (Performance Enhancement and Response Team)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 사용자에 대한 종단간 전송성능 향상을 위한 종단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 대한 튜닝 서비스
- Looking Glass 서비스
네트워크 사용자 및 운영자에게 투명한 백본 라우팅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문의처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조부승(bscho@kis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