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th CEF Networks Workshop, LHCOPN-LHCONE, SIG-NGN... 2023. 05. 18 View. 48947
CEF Networks (광기반 연구망 기술) Workshop 2023은 2023년 4월 18일 ~ 4월 19일, 양일간 체코 프라하에서 체코연구망(CESNET)이 개최하였다. CEF Networks Workshop은 체코연구망에서 개최하는 전 세계 유일의 국가연구망간 Dark Fiber Footprint 개발과 첨단응용에 관한 워크숍으로 2년에 한번씩 개최되는 행사로 올해로 제11회를 맞이하여, 아래의 영역에 대한 발표 및 논의가 진행되었다. 본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국가연구망에서 Dark Fiber에서의 Flexible Spectrum Allocation, Multiple Transmission System, Time and Frequency Transfer는 물론 Distributed Sensing 등의 새로운 기술 및 응용에 대해 소개되었다. 또한 QKD, Entanglement, Metrology 등의 분야에 대한 양자응용기술에 대한 소개는 물론 이러한 다양한 응용을 지원하기 위한 광전송 계층 구현 시 Multi-domain spectrum sharing/alien waves 전송이 가능한 개방성이 보장된 구축이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KREONET의 dark fiber footprint는 물론 dark fiber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응용을 소개하였으며, 특히 한-이탈리아와 추진하고 있는 대륙간 광시계 비교 프로젝트에 대한 많은 질의가 있었으며, 향후 유럽 내 GEANT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연구망과의 협력이 기대된다. 또한 올해로 50회를 맞이하는 LHCOPN-LHCONE (LHC 광전용망 및 LHC 개방형네트워크) 워크숍이 4월 18일 ~ 4월 19일, 체코 프라하 Institute of Physics of the Czech Academy of Sciences에서 개최되었다. 본 행사는 스위스 CERN 주도의 LHCOPN-LHCONE (LHC 광전용망 및 LHC 개방형네트워크)에 대한 워크숍으로 올해 처음으로 중국의 IHEP은 LHCb에 대한 Tier1를 그리고 폴란드의 핵물리연구소인 NCBJ(Narodowe Centrum Badań Jądrowych)는 LHCb proto Tier1 WLCG Tier1으로 개소함을 밝혔다. WLCG LHCONE prefix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CRIC Database에 대한 현황 및 개발, JUNO, Belle II, DUNE 등의 LHCONE을 이용하는 고에너지물리 분야 프로젝트에 대한 업데이트가 발표되었다. 또한 SENSE-Rucio, perfSONAR 5.0, Packet pacing, Data Caches, multiONE Implementation, Jumbo frame, SC23 Demo, FABRIC/FAB, P4 and Tofino 등의 다양한 이슈에 대한 활발할 토론이 이루어졌다. KREONET의 국내망 및 국제망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KREONET LHCOPN과 LHCONE의 향후 구축 계획을 포함한 업데이트 현황을 발표하였다. 또한 같은 장소에서 11th SIG-NGN (유럽연구망기구 주관 차세대 연구망 기술) 미팅이 개최되었다. SIG-NGN (Special Interest Group on Next Generation Networks)은 GEANT(유럽연구망) 주도의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논의 기구로 올해는 "Large science experiments and networking futures"라는 주제로 HL-LHC, ITER, SKA 등의 글로벌 빅사이언스 분야 전문가를 초청하여 이러한 분야의 요구사항과 향후 지원해야 할 국가연구망의 서비스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IPv6 traffic, perfSONAR 5.0, GNA-G Global Networking 등의 네트워킹 환경에 대한 소개는 물론 이러한 다양한 요소의 기술을 접목한 DOE의 Integrated Research Infrastructure에 대해 소개되었다.
-
KISTI 원내 Globus online 이용 그룹 협력 미팅 2023. 05. 18 View. 48759
4월 4일 KISTI 원내 Globus online 이용 그룹들의 서비스 적용 현황 및 향후 계획 공유를 위한 협력 회의가 진행되었다. 이번 회의는 유관부서인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슈퍼컴퓨팅인프라센터, 인공지능데이터연구단이 참여하여 100G급 Nurion 데이터 전송 노드 클러스터 전송 환경 구축 및 운영, AIDA 서비스(KISTI AI 데이터 공유•활용 서비스)에서의 Globus 프리미엄 스토리지 커넥터(iRODS 커넥터) 도입 경험,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GCSv5 중심의 구조 리뷰 및 향후 계획 등을 논의하였다. 이번 협력 회의를 통해 Globus 서비스 기반의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을 토대로 연구 자원의 공동 활용 및 유관 부서 간 긴밀한 기술 협력에 관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고, 더 나아가 KISTI 활용 사례들이 KREONET 가입 기관에서도 참조 모델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ISTI/KREONET - ETH Zürich/SCION 국제협력연구 워크숍 개최 2023. 05. 17 View. 48185
‘23년 4월 12일 ~ 4월 14일, 3일간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조부승 센터장 외)는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방문을 통해, SCION 글로벌 코어망 및 차세대 보안 백본 구축, 대용량 데이터 고속 전송 기술 개발 및 데모 추진 등에 관한 국제협력미팅을 개최하였다. ※참여기관: SCION Association (글로벌 SCION 협의회 비영리 조직), SCION Lab (ETH Zürich 네트워크 보안 그룹, PI: Adrian Perrig 교수), Anapaya System (SCION 기반 네트워크 솔루션 제공자), SWITCH (스위스 국가연구교육망), KREONET (과학기술연구망센터) SCION 협력을 위한 비영리 조직인 SCION Association은 디지털 경제의 요구사항 즉, 가용성, 보안성, 성능, 규정 등을 만족하는 SCION 차세대 인터넷의 글로벌 적용 및 개발을 위한 산·학·연 협력체이다. 현재 스위스 연방은행을 포함하여 ETH Zurich, SIX, SWITCH, DIDAS, eraneos, ETH Foundation, UNIVERSITY MAGDEBURG, libc TECHNOLOGIES, Swiss Finance+ Technology Association이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KISTI/KREONET와 SCION Association은 KISTI의 SCION Association 참여 및 협력방안에 대하여 협의하였다. 신규 KREONET 보안백본서비스에 대한 적용, 고성능 전송 솔루션 및 차세대 고성능 방화벽 등의 개발을 위해 SCION 코드의 재사용 및 개발을 위해 향후 SCION Association과의 협력 방안 (회원 가입 등) 고려가 필요하다.사진1. Marcel Keller (SCION Foundation/Co-CEO), Matthias Frei (SCION Foundation/Software Engineer), 조부승, 박찬진(KISTI/KREONET)또한 SWITCH (스위스 국가연구망)와 KREONET(국가과학기술연구망)은 SWITCHlan SCION Access 등에 대한 협력 협의가 진행되었다. 스위스 국가연구망 SWITCH는 40개 주요 회원을 대표하는 Foundation Council을 중심으로 140여명으로 구성된 SWITCH를 통하여, 연구 및 교육기관에게 “Provider of digital Service Ecosystems and Critical Infrastructures, Enabler for Digitalization, Technology & Innovation”를 위한 국가연구망으로 400Gbps 전송기술을 통한 전국 단위 백본 구축은 물론 첨단 네트워킹 서비스는 물론 보안, DCI, Time and Frequence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WITCH는 교육 및 연구기관 뿐만 아니라 금융, 에너지, 병원 등의 산업 분야에 대한 네트워킹 서비스는 물론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높은 수준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SCION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구축 중으로 2020년 이후 스위스 내 은행권의 네트워크를 SCION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현재 유럽 전역으로의 확대를 위해 GEANT(유럽백본연구망)과 협력 추진 중이다. KREONET은 SWITCH와 SCION 적용을 위한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기로 하였으며, 특히 관련 기술 및 연구 협력을 추진하기로 하였다.사진2. Tom Kleiber (SWITCH/Managing Director), Martin Leuthold (SWITCH/Head of Network & Security, Deputy Managing Director), 조부승, 박찬진(KISTI/KREONET)SCION 글로벌 코어망 구축을 위해 KISTI/KREONET과 Anapaya System은 SCION 솔루션(production-level) 도입 및 구축에 대해 협의하였다. SCION의 아카데믹 코드를 프로덕션 코드로 개발하여, 해당 서비스를 보급하고 있는 Anapaya 시스템과의 KREONET 국내망/국제망에서의 SCION 적용을 위한 프로덕션 솔루션 도입 및 구축에 대한 구축 방법 및 일정 등 논의하였다.사진3. Martin Bosshardt (Anapaya System/CEO), Kyveli Mavromati (Anapaya Systems/Customer Success & Software Engineer) 외 다수, Adrian Perrig (ETH Zurich/Professor, Network Security Group), 조부승, 박찬진(KISTI/KREONET)KISTI/KREONET - ETH Zürich/SCION Team 간 2022년 공식적인 협력을 위한 MoU 체결 후 아래의 영역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하였다. · KREONET의 국내망 및 국제망에서의 신규 production 백본에 대한 보안서비스로써의 SCION 서비스 구축 협력 · SBAS (SCION Backbone AS), Hercules (Bulk data transfer over SCION), LF (Lightening Filter) 등의 신규 SCION 서비스에 대한 공동 연구 및 기술 데모 추진 · 탄소중립(CO2 감소) 네트워킹 등 신규 연구 협력 분야 발굴 · SCION 연구를 위한 국내 및 국제 SCION 테스트베드의 구축 및 관련 커뮤니티 협력 지원(국내 KAIST를 포함한 연구계는 물론 싱가포르 NUS 등의 국제 연구 커뮤니티 지원) · 향후 정기적인 교류 및 방문 행사를 통한 양기관간 협력 강화 등
-
2023년 상반기 과학기술연구망 자문위원회 개최 2023. 05. 17 View. 47454
‘23년 4월 5일, KISTI 대전본원 컨퍼런스룸에서 올해 새로이 각 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과학기술연구망 자문위원회(조만형교수/위원장 외)의 2023년도 상반기 회의가 개최되었다. 임명된 자문위원에 대한 임명장 전달 및 과학기술연구망 사업에 대한 사업현황 소개와 함께, 2가지 자문안건에 대한 설명 후 자문위원의 자문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 안건은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추진의 건’으로 기존의 1년 단위의 선정 및 평가 프로세스를 3년 단위까지 확장하여, 행정 비용을 줄이고 연구자에게 중장기적인 성과창출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다.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의 지원 대상 선정·평가 프로세스는 평가 분야별로 미리 나눠 자원을 분배하고, 지원 과정을 간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더 많은 연구자 집단 발굴을 위한 홍보 및 다양한 분야의 커뮤니티 소통을 위한 사용자 컨퍼런스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두 번째 안건은 ’국가 대용량 데이터 교환노드 개발 및 구축의 건‘으로 국가 대용량 데이터 교환노드 구축 및 핵심 기술 개발과 관련하여, 사업추진에 대한 계획 및 향후 발전 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다. 첫 해부터 신기술을 개발해서 바로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아, 테스트베드를 빨리 구축하고 운영하면서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수집하여 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개진되었다. 또한 국가 대용량 데이터 교환노드 운영 및 정책 관련하여, 정산 등 많은 이슈를 논의하기 위한 포럼이 필요하고, 또한 민간 사업자가 아닌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 진행하는 당위성과 사례 등을 잘 준비해야 하며, 기존 과제와 함께 진행하려면 추가적인 인력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 워크숍 개최 2023. 05. 04 View. 48108
연구협력, 성과목표 달성을 위한 KISTI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 워크숍이 3월 16일(목)~17일(금)에 소노벨 변산에서 개최하였다. 2023년도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의 비전 및 발전전략 방안을 강구하고 연구성과 목표의 성공적 달성을 위한 구성원 간 원활한 업무 협력을 위한 교류의 장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각 부서별/부문별/과제별로 연구성과목표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상호 간 협력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디지털전환 가속화에 따른 부문별 중장기 추진전략 및 실행계획 논의하고 수립하였다.구성원 간 소통의 장을 통해 부문별 유대를 강화하고 원활한 업무협력 체계를 마련하였으며, 발전전략 수립을 위한 브레인스토밍으로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과학기술디지털융합본부 발전 방향 및 구성원의 역량 강화 방안을 검토하고 개선 방향 모색하였다.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과학기술인공제회 간 정보인프라 운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3. 05. 04 View. 4836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과학기술인공제회(SEMA)는 3월 28일, 과학기술인공제회 대회의실에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과학기술인공제회 간 정보인프라 운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데이터 기술 교류, 공동 세미나, 워크숍 등의 프로그램 추진, SEMA 정보인프라에 대한 KISTI 본원 및 분원 이중화 운영 등 SEMA 정보서비스 플랫폼 전반에 대해 상호 협력할 것을 협약하였다. 특히, 이번 협약으로 정보인프라의 안정적 운영에서 한 발 더 나아가 KISTI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활용하여 SEMA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후 운영 등으로 추가 협력을 약속하였다. 김재수 KISTI 원장은 "KISTI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정보활동의 중심 연구기관"이라며 "과학기술 인프라 디지털 혁신을 통해 축적한 역량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인 복지의 핵심, SEMA 정보서비스의 안정적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ICT Convergence Korea 2023 참석 및 발표 - 소프트웨어 정의 5G+ ... 2023. 05. 04 View. 49357
산업용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안전하고 정확한 시간에 지연없이 전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한국통신학회가 주관 및 개최한 ICT Convergence Korea 2023에서 대전형 융합신산업 특구기술 실증 선도사업의 일환으로 연구소기업, 금성백조주택, 엑센 솔루션 등 산업체와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인프라 기술의 개발 및 실증 현황을 발표했고, 참가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본 발표를 통해 공유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산업용 데이터-네트워크-AI 융합 인프라 실증을 위하여 스마트 팩토리와 스마트 빌딩이 선정되었고, 현재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기반의 5G+ 플랫폼 기술 개발과 적용이 진행 중으로, 특히 KISTI는 스마트 빌딩의 망 분리 기술 실증을 통해 과학기술연구망 이용기관의 데이터를 안전하고 높은 성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5G+ 기반의 데이터 안심존을 구축하여 검증할 계획이다. 이러한 실증 결과물은 IDC, 스마트 아파트 등 산업계의 특수 목적 건물 구축을 위한 망 분리 환경에 활용될 수 있다. 향후 KISTI와 연구소기업(트렌토시스템즈)은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를 수행하여 저비용의 산업용 5G+ 기반 기술과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중소산업계의 디지털 전환 원동력을 강화하는 한편 5G+ 핵심 기술의 상용화와 국산화를 위해 노력해 나갈 예정으로, 연구 개발된 기술은 궁극적으로 과학기술연구망의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APAN(the Asia-Pacific Advanced Network) 55th 참석 2023. 05. 04 View. 45422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최신 네트워크 기술 동향 파악 및 국제연구교류를 위하여 2023년 3월 13일부터 17일까지 네팔에서 개최된 APAN 55th에 참가하였다. 본 행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연구망을 중심으로 고급 네트워크 기술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워크숍, 튜토리얼, 프레젠테이션,라이트닝 토크 등을 통해 최신 네트워크 기술의 교류 및 연구망 기반의 국제 연구협업의 장이다. Opening Ceremony에서는 KISTI/KREONET & AER(Asia-Europe Ring) 컨소시엄 MoU 체결이 메인 행사로 진행되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BGP(Border Gateway Protocol) 보안강화를 위한 라우팅 인증(RPKI, Resource Public Key Infrastructure)와 MANRS(Mutually Agreed Norms for Routing Security)에 대한 튜토리얼과 경험이 공유되었다. 현재 국내 RPKI 적용률은 5% 미만으로 국제 흐름에 따라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 적용을 준비중이다.
-
KISTI/KREONET & AER(Asia-Europe Ring) 컨소시엄 MoU 체결 2023. 05. 04 View. 4535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3월 15일 아시아, 오세아니아와 유럽 간 대륙 간 고가용성 그리고 고성능 국제 연구망 서비스를 위한 협력으로 최신 기술 개발 및 응용 지원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글로벌 연구망 협의체(AER) 컨소시엄 참여를 위한 다자간 양해각서(MOU)를 APAN55(네팔, 카트만두)에서 체결하고 본격적 운영을 시작한다. KISTI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이하 KREONET)을 통해 거대과학 및 융합연구 분야 대용량 연구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전송하는 한국의 국가연구망(NREN)을 구축하고 있다. KREONET은 그동안 대용량 연구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100기가급 글로벌 연구망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 및 국가적인 과학적 발견에 이바지하였다. 이번에 구성한 AER(Asia-Pacific Europe Ring)은 아시아·오세아니아·유럽 지역의 100기가급 국제 연구망을 상호 연동함으로써 각 대륙간 대용량 연구데이터를 아시아·오세아니아·유럽 지역의 연구기관으로 초고속 전송이 가능하게 하고, 상호 백업을 통하여 국제 연구망 서비스의 가용성을 극대화한다. 또한 참가 국가들의 연구망 간 협력 증진을 통해 다양한 국제 응용 개발 및 지원을 모색한다. KREONET은 이번 AER 다자간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해, 2023년 신규로 개통하는 싱가포르~암스테르담 즉 아시아와 유럽 간 100기가급 국제망에 대한 백업회선을 확보하며 이를 통한 국제연구망의 목표 가용율(연구성과목표 99.9% 이상)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AER 다자간 양해각서(MOU) 체결은 AER은 아시아, 오세아니아와 유럽 간 대륙 간 고가용성 그리고 고성능 국제 연구망 서비스를 위한 협력으로 최신 기술 개발 및 응용 지원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다자간 고가용성 연구망 연동 및 상호간 백업 지원·효율적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협력 및 엔지니어링·SDN 등의 네트워크 연구 및 서비스 협력·국제간 응용 개발 및 국제 데모 지원 등에 대해 글로벌 협업 연구가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ISTI 김재수 원장은 “AER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아시아·오세아니아·유럽 지역 AER 파트너와의 최신 네트워킹 기술 협력, 관련 국제 데모 등을 통한 국제연구망 연구 교류 기회 증대하고, 국내 연구자가 전 세계에서 발생한 과학 빅데이터를 빠르게 확보하여 글로벌 협업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관련기사 >>KISTI, 아시아태평양·유럽 다국적 업무협약 체결 | 보도자료 | KREONET NEWS | 알림마당 | KREONEThttp://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03084http://www.cc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8245
-
[안내] KRnet 2023 개최 안내 2023. 04. 24 View. 62456
[행사 바로가기] https://krnet.or.kr/[사전등록 바로가기] https://krnet.or.kr/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