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워크숍 개최 2023. 01. 06 View. 51604
- 기본사업 연구개발 성과 점검 및 향후 추진방안 모색 -2022년 12월 15일(목)~12월 16일(금) 대천 한화리조트에서 2022년 과학기술연구망센터기본사업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본 워크숍을 통하여 2022년도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주요사업에서 중점적으로 추진된 용역사업의 수행 결과를 공유하는 한편, 2023년도에 추진될 과학기술연구망센터의 주요사업 계획을 공유하고 다양한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2022년도 기관 기본사업으로 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사업과 양자암호통신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본 워크숍에서는 해당 기본사업의 중점 추진 용역인 과학기술연구망 N-S-C 통합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 개발, KREONET 디지털 전환을 위한 KREONET 서비스 플랫폼 및 포탈 개발, T&I 기반 연구커뮤니티 지원형 화상회의 기술 개발, 양자키분배 프로토콜 구현 연구, 양자키관리 시스템 개발 현황 등 새로운 연구 개발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개발 방향을 논의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2023년도에 추진될 KREONET 기본사업, 양자암호통신 기본사업, 그리고 신규로 추진될 데이터교환노드 기본사업에 대한 계획을 공유하고 보다 의미 있는 사업 결과 도출을 위한 현실적인 추진방안에 대하여 협의하였다.
-
2022년 미래 사이버 융합연구를 위한 광기반 혁신적 네트워크 융합 클러스터 워크숍 개최 2023. 01. 06 View. 50638
-미래 사이버 융합연구를 위한 광기반 혁신적 네트워크 융합 클러스터-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출연연 중심의 차세대 광백본 구축을 위한 기획과제인 ‘미래 사이버 융합연구를 위한 광기반 혁신적 네트워크 융합 클러스터’ nst 다학제 융합클러스터 사업 1차년도 전체 워크숍을 12월 8일~9일 양일간 거제 한화리조트에서 개최하였다. 본 과제는 미래 사이버 융합연구를 위한 광 기반 혁신적 네트워크 융합클러스터라는 주제로 25개 NST 출연연 및 4개 과학원 등 50여명의 분야별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다. 본 워크숍에서는 20여명의 전문가들이 모여 기관별 네트워크 구축/운영 현황 및 고도화 계획과 미래 네트워크 수요를 공유하였다. 또한, 차세대 네트워크 고도화(SuperSIREN2)를 위한 세부 설계 방안과 분야별 광기반 융합 연구 추진 및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향후 본 과제의 지속적인 추진과 활발한 연구교류를 통하여 다양한 첨단 과학기술 융합연구 활용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출연연 중심의 차세대 광네트워크 설계를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추진할 예정이다.
-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 신규 국제백본회선 1단계 구축 완료 2023. 01. 06 View. 49524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2022년 11월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GLORIAD) 싱가포르 GIgaPoP 신규 구축을 시작으로 대전-싱가포르 100G 링크 신규 개통, 싱가포르-암스테르담 100G 링크 신규 개통, 시카고-암스테르담 100G 업그레이드(기존 10G)를 완료하였다. 이는 대전(한국)을 시작으로 “대전(한국)-시카고(북미)-암스테르담(유럽)-싱가포르(아시아)-대전(한국)”을 연결하는 글로벌 100G 링형 네트워크이다. KISTI는 2005년 GLORIAD의 핵심멤버로써 15개국의 연구망과 함께 전세계 최초의 북반구를 10G 링형으로 연동하는 국제연구망인 GLORIAD를 구축한 이후, 19년 만에 자체적으로 북반구를 100G 링형으로 연동하는 새로운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을 구축하였다. 향후 구축된 100G 글로벌 링형 국제 광백본을 기반으로 기존 아시아태평양-오세아니아 글로벌 연구망협의체(APONET)를 통하여 다양한 백업경로를 확보함은 물론 아시아-유럽 국제연구망 컨소시엄(AER), 북미-유럽 국제연구망 컨소시엄(ANA)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하여, 국제연구망 간 상호 백업체계 구축을 통해 글로벌과학기술협업연구망의 안정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더불어 국제연구망 고성능 라우팅 백본 라우터 구축 및 세그먼트 라우팅(SR) 적용을 통해 글로벌 연구 수요에 대응 가능한 세계적 수준의 국제연구망으로 거듭날 것이다.
-
KISTI 이슈브리프 발간, "신뢰 및 신원 관리 기술의 동향: 연구 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2023. 01. 06 View. 49434
KISTI는 학·연 분야 ‘신뢰 및 신원관리 기술’의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 신뢰 및 신원관리 인프라는 안전한 사이버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프레임워크이다. 세계 각국 정부는 2010년대 초부터 안전한 사이버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가 전략을 수립 및 실천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신뢰 및 신원관리 인프라가 학·연 분야까지 광범위하게 구축되고 있으며 국가연구망, 데이터 플랫폼, 고성능 컴퓨팅과 함께 국가 R&D의 핵심 인프라로 인식되고 있다. 신뢰 및 신원 관리 인프라는 과학기술 응용서비스에서 기관 간 경계없는 통합인증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하난의 아이디로 다수의 응용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게 지원하므로「과학기술계의 소셜 로그인」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학·연 분야 신원관리체계는 사일로(Silo)형태의 고립형 체계에 머물러 있어 사용자 편의성, 데이터의 개방성 및 접근성 측면에서 국외 사이버 인프라와 비교해 열위에 있다. KISTI KREONET은 민·관 협력을 통해 국가적 연합 신원관리 인프라의 구축과 육성, 학·연 분야 기술자립을 위한 신원모델별 핵심기술의 확보, 학·연 공동관리 거버넌스 체계의 학보와 활용확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국내 학·연 분야의 사이버 인프라와 클라우드 서비스들이 국제적 호환성과 경쟁력을 갖춰 국내외 산·학·연이 e-인프라를 융합 활용할 수 있도록 연합형 신원관리체계로의 조속한 전환을 제안했다. 학·연 분야 신원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KISTI KREONET은 연합형 신원관리체계의 핵심기술인 기관 공유형 인증관리 기술을 개발해 국내 산·학·연에 무상으로 제공함으로써 국내 신원관리체계의 혁신에 기여하고 있다. support@kafe.or.kr이슈브리프 URL >> 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5871;jsessionid=Be7Cj5RW1lamQz2CkiksvLEa6vFPvsvZIeNo5r4mahDSmhW2b0ljBnrAitr1jo84.ar211_servlet_engine23?t=1672722549691
-
계묘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3. 01. 06 View. 49097
-
[안내] 제 3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 공청회 2023. 01. 04 View. 43050
1. 행사명: 제3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 공청회2. 일시: 2023년 1월 11일(수) 13:30~15:303. 장소: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및 온라인 생중계 - 유튜브: https://youtu.be/KdeUu6QtB88 4. 참석자: 과기정통부, 관계부처, 기본계획 총괄위원회 및 분과위원장, 연구관리 전문기관, 민간전문가, 관심있는 국민 누구나5. 주요내용: 제3차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육성 기본계획('23~'27) (안) 주요내용 공유, 패널 토론, 대국민 의견수렴 등 6. 비고: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리며, 주차가 어려우니 대중교통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
2023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 및 선정 안내 2022. 12. 22 View. 45982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국내 연구자들의 우수한 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거대과학 등 첨단연구 수행에 대한 네트워킹 자원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년 운영되는 이 프로그램은 최대 10Gbps~100Gbps의 대역폭을 지원하여, 고에너지물리, 천문, 우주, 기상기후, 의료 등 국내 다양한 분야의 첨단 과학기술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에 2023년 추진되는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일정을 안내합니다. 2023년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일정을 안내 드립니다. 특이사항 : 기존 1년 단위로 지원하던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연구특성 및 활용계획서 내용을 고려하여 최대 3년간 지원하도록 개선 예정(1~3년간 지원) 주요일정 : (수정됨)2023년 1월 26일 :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 시작(활용계획서 제출)2023년 2월 9일 : 공모 모감(활용계획서 제출 마감)2023년 2월 10~16일 : 첨단연구지원 선정위원회 구성 및 선정평가2023년 2월 17일 ~ 연중 : 선정기관 결과 안내 및 첨단연구지원 시작
-
The 6th Asian Tier Center Forum (ATCF6) 참가 2022. 12. 22 View. 45270
태국(KRABI)에서 11월 21일부터 5일간 9개국 30여명(Fudan University(CN), CCNU(CN), TIFR(IN), VECC(IN), BRIN(ID), ICEPP(JP), KEK( JP), KISTI(KR), CERN(CH), AGSC(TW), Chulalongkorn University(TH), Rajamangala University of Technology Isan(TH) 및 SUT(TH))의 고에너지물리(LHC) 아시아 티어센터 관련자들이 모여 사이트 리포트, 네트워크, 스토리지, 스케쥴러 등에 대에 논의하고 아시아 티어센터 활성화를 도모하였다. 과학기술연구망은 고에너지물리(LHC) 전용망 LHCONE를 운영하고 있으며, 2023년 국제 백본(KREONET2) 고도화아 함께 아시아의 여러 연구망에 대한 북미, 유럽으로의 트렌짓(Transit) 서비스 제공을 알렸으며, 이틀 통해 아시아 LHCONE 백본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 된다.
-
KISTI 과학기술연구망, SCinet Spirit of Innovation Award 수... 2022. 12. 22 View. 45009
- SC22 고성능 컴퓨팅 및 네트워킹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행사에서 SCinet 혁신상 수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김재수, 이하 KISTI)은 지난주 미국 달라스에서 개최된 고성능 컴퓨팅 및 네트워킹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행사인 SC22에서 KISTI의 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이 SCinet 혁신상(Spirit of Innovation Award)을 수상하였음을 밝혔다. *SC22: 고성능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및 분석 분야에 대한 매년 개최되는 세계 최고 권위 국제 컨퍼런스로 올해는 11월 13일부터 11월 18일까지 미국 달라스에서 개최 SCinet은 고성능 컴퓨팅을 연결하는 지구상의 가장 강력한 네트워크로 매년 SC 행사를 위해 산업계, 학계, 연구계를 대표하는 전문가가 첨단 SCinet 인프라를 설계 및 구축하여, 최첨단의 네트워킹을 제공한다. 올해 SCinet은 80개 기관 이상에서 175명 이상의 네트워크 전문가가 총 5Tera급 망을 구축하였다. SCinet은 APONET, Internet2, CENIC 등과 함께 KISTI KREONET을 SC22에서 대규모의 과학 협업 데모를 지원함에 있어 국제 협력을 포함한 기술의 혁신성을 인정하여 SCinet 혁신상을 수여하였다. SCinet 의장인 Matt Zekauskas는 Award 수여식에서 “2022년 SCinet Spirit of Innovation Award의 수상자들은 도전적인 문제에 대하여 최첨단 솔루션을 시연, 구현 및 운영에 있어 최고의 협업 및 협력 정신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이 협력은 SCinet에게 정말 특별한 것으로 우리 모두는 파트너십과 혁신을 보여주기 위한 그들의 노력에 매우 고무되고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은 아시아 태평양 구간의 100Gbps급 국제연구망을 글로벌 과학기술 협업 데모에 직접 지원함은 물론 APONET (Asia Pacific Oceania NETwork)의 일원으로써 북미,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 연구망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다양한 SCinet NRE (Network Research Exhibition)을 지원하였다. 또한 P4 기반의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테스트베드 데모, AutoGOLE/SENSE 종단간 네트워크 서비스 및 워크플로우 통합 데모, 차세대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구조 기반의 데이터 집약형 과학을 위한 엑사스케일 워크플로우 데모 등의 NRE 데모에 글로벌 파트너와 공동으로 참여하기도 하였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조부승 센터장은 “올해 SC22에서 KISTI 과학기술연구망의 SCinet 혁신상 수상은 과학기술연구망 국제연구망 인프라의 우수성은 물론 첨단 네트워킹 기술 협력 연구에 있어서의 혁신성을 인정한 것으로, 향후 과학기술연구망은 국제 연구망 인프라의 지속적인 고도화는 물론 연구망의 혁신적인 네트워킹 기술을 바탕으로 고에너지물리, 핵융합, 천문우주 분야의 거대과학분야 글로벌 협력 연구를 지원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바로가기 >> KISTI 과학기술연구망, '사이넷' 혁신상 수상 | 보도자료 | KREONET NEWS | 알림마당 | KREONET
-
KISTI 이슈브리프 발간: 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KREONET 2022. 12. 22 View. 45394
KISTI는 양자암호통신 기술 및 구축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포스트 퀀텀 시대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국가과학데이터 양자암호 인프라 전환 방안과 KREONET 양자암호통신 구축전략 제언을 담은 『KISTI 이슈브리프』를 발간했다.양자컴퓨터와 같은 새로운 컴퓨팅자원 및 알고리즘 등의 기술이 등장하면서 보안 취약성이 더 높아져 국가별 양자컴퓨터 및 양자암호기술에 투자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양자키분배(Quantum Key Distribution, QKD) 기술을 이용한 안전한 양자암호통신을 구축·서비스하기 위한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KISTI KREONET은 국가 연구데이터를 물리적 기반의 양자암호기술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전송·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국가연구망을 구축하기 위한 양자암호통신 주요 기술 및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KREONET 네트워크 구조에 적합한 Plug&Play 타입 BB84 QKD 장치, 다양한 QKD 장비 및 암호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KREONET QKMS(양자키관리시스템), QKMS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멀티 도메인 양자키 전달 및 제어를 수행하는 KREONET Q-SDN-Controller(양자키관리 환경 통합제어 컨트롤러),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서비스 등을 개발하고 있다.KISTI 이슈브리프를 통하여 KREONET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대형연구시설장비 등 주요 국가시설물에서 생성된 국가과학데이터의 안전 보안·통신을 위한 양자암호 인프라 및 서비스 구축개발 계획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슈브리프 url>> https://www.kisti.re.kr/post/issuebrief/5839;jsessionid=x9OAozPMhiaifNnGZe8KROecLrG11xq120zaSXm31x9xqlqabXpUY4KnZuSUDE1E.ar211_servlet_engine23?t=1670548585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