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개요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연구망, 국가과학기술연구망

목적

공모를 통해 선정된 첨단 과학기술연구그룹 혹은 연구자를 대상으로 연구자 종단까지 기가급 이상의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인프라 및 다양한 고성능 연구망 서비스를 제공하여, 탁월한 연구성과 창출 및 첨단 협업연구 가속화를 목적으로 하고있습니다.

관련근거: 「국가과학기술연구망 회원지침 제5조(연구회원)」

지원대상

  • 연구 커뮤니티 중심의 연구 자원 공동 활용, 실시간 데이터 교환 및 대용량 데이터 공유가 요구되는 첨단 협업 연구자 혹은 연구 커뮤니티
  • 국내는 물론 글로벌 협업 연구가 요구되는 도전적인 글로벌 협업 연구
  • 차원의 중점 R&D 투자 분야 및 핵심 기술 개발 프로젝트
  • 기후변화 대응 등 글로벌 차원의 시급한 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 핵심 연구

지원내용

  • 기가급 이상의 연구전용 회선 제공 및 네트워크 기술 지원
  • 전송 성능 향상 등 연구망 활용 목적에 최적화된 연구망 기술 지원
  • 글로벌 협업연구를 위한 국제 연구망 구성 및 기술 지원
  • 대용량 데이터 전송 서비스(ScienceDMZ 네트워크 설계, 데이터 전송노드, 데이터 전송 툴, 성능측정 및 모니터링), ID 연계 서비스(KAFE), 온라인화상회의 서비스(Webinar), 첨단테스트베드 등 KREONET 서비스

지원현황(2025년)

  • 10개 이상의 첨단 과학기술 연구 커뮤니티
    고 에너지물리, 천문우주, 기상기후, 바이오유전체, 빅데이터 융합,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거대실험, 원격교육, 양자통신, 첨단의료 등
  • 80개 첨단 과학기술연구 프로젝트(연구그룹 및 연구자) 지원
  • 거대과학연구 프로젝트 중점 지원('21년~) 4개 분야
    [천문우주]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핵융합] 한국형초전도핵융합로(KSTAR), [바이오유전체] 암유전체분석(PCAWG), [항공우주] 국가위성지상네트워크

연간일정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