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덕특구 실증사업,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적용한 원격제어 자율주행 실증", ... 2025. 06. 13 View. 625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올해 5월부터 내년까지 약 2년 간 대덕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의 지역혁신 실증 스케일업 사업에 참여하여 "프로그래머블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적용한 원격제어 자율주행 실증"을 추진한다. 이번 실증 사업은 KISTI 연구소기업인 트렌토 시스템즈를 주관 사업자로 하여 KISTI와 KAIST가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최근 가파르게 진행되는 C.A.S.E (Connected, Autonomous, Shared, Electric) 중심 모빌리티 시장 변화와 더불어 로봇,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모빌리티 응용 서비스 요구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는 종단간 프로그래밍 가능한 모빌리티 전용 통신 네트워크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이를 위해 산학연 참여 기관인 KISTI와 KAIST 및 트렌토 시스템즈는 지난 5월 13일에 내포 신도시에 위치한 KAIST 모빌리티 연구소에서 공동으로 Kick-off 미팅을 개최하고 실증 사업을 공식적으로 출범하는 한편, 협력 기관 간 연구개발 역할과 추진 계획 등을 상호 협의했다. 향후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본 사업을 통해서 SDN 기반의 저지연 광역연구망 구현과 실증, 첨단 무선통신 사설망간 가상화 페더레이션 기술 개발, 60GHz 밀리미터파 통신망 성능 측정 및 분석 연구, 클라우드 중심 에지 네트워크 설계와 구축 연구 등을 수행하고자 하며 최종적으로 클라우드 로봇의 실시간 제어 기술과 자율주행차 기반 초저지연 원격제어 기술의 개발과 실증에 기여할 계획이다.
-
KAFE 소프트웨어, 이제 Docker로 더 쉽게! 2025. 06. 13 View. 585
2025년 하반기부터 KAFE 아이디제공자 소프트웨어가 Docker 컨테이너 형태로도 제공된다. 이번 변화를 통해 회원기관은 더 빠르게 아이디제공자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FE는 2016년부터 현재까지 회원 기관에 아이디제공자 소프트웨어를 패키지 형태로 제공해왔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패키지 방식은 아이디제공자 설치와 환경 구성이 복잡하고, 특히 특정 리눅스 운영체제에서만 동작하여 각 기관의 서버 관리 환경과 맞지 않거나 관리 포인트가 증가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었다. 새롭게 배포될 Docker 컨테이너에는 KAFE 아이디제공자 소프트웨어와 서버 구동에 필요한 모든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들이 통합되어 있다. 환경설정에 필요한 파일들만 호스트 서버에서 관리하면 되므로, 기존 설치 방식보다 빠른 아이디제공자 구축과 환경 설정이 가능하다. 특히 컨테이너에는 LDAP/AD, MySQL/MariaDB, Oracle 등 데이터베이스 클라이언트가 기본 탑재되어 있다. Tibero 등 일부 데이터베이스는 검증 환경의 부재로 인해 이번 배포판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향후 내장 클라이언트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HTTPS 인증서 지원 측면에서도 유연성을 높였다. 웹 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이 분리된 환경이나 통합된 환경을 모두 지원하므로, 각 기관의 서버 운영 환경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모든 기능이 컨테이너화된 것은 아니다. 아이디제공자와 기관 내부 사용자 계정 DB를 연동하는 인터페이스는 컨테이너화가 쉽지 않아 여전히 수동으로 코딩해야 한다. 또한 기관 내부의 CI/CD 환경은 별도로 지원하지 않으므로, 회원 기관은 배포되는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CI/CD 환경을 자체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Docker 컨테이너와 관련된 문의나 기술지원은 연구망 사무국 또는 support@kafe.or.kr를 통해 받을 수 있다.
-
[안내] KREONET 실무자와 함께하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와 AIOps 세미나 2025. 06. 05 View. 1094
>>> 등록하러가기 <<< KTC(실무협) Cloud & Data center Working Group 활동의 일환으로 아래와 같은 세미나를 추진하려 합니다. 세미나명 : KREONET 실무자와 함께하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와 AIOps 세미나 목적 : 본 세미나는 과학기술연구망 가입기관 실무자에게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와 AI 기반 자동화 기술(AIOps) 주제로 차세대 네트워크 운영 패러다임을 공유하고 AI 시대의 네트워킹을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려고 함. 일시 : 2025. 6. 18. 13:00 ~ 17:30 장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원 강당(본관) 참석자 : KREONET 실무자 중 관심 있는 사용자 참가등록 : 2025년 6월 9일(월) ~ 12일(목) KREONET 홈페이지 - 알림마당 - 행사안내 - 진행중인 행사 https://www.kreonet.net/notifications/post/event_ing?t=1749110681016 발표자료 : KISTI 기술세미나 | Box 지원 참석요청 공문은 하단의 첨부파일을 참고해주세요!
-
[안내] 제33차 KRnet 2025 (The 33rd Korea Internet Conf... 2025. 05. 26 View. 1773
- 행사명 : KRnet 2025 (The 33rd Korea Internet Conference) - 일 자 : 2024. 6. 23(월) ~ 24(화) - 장 소 : 서울 엘타워(5층, 6층, 2층) - 주 관 : KCA, ETRI, TTA, KISA, KISTI, OSIA, NIPA, IITP, NIA - 후 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 사전등록 바로가기 >> https://krnet.or.kr/include/subPage.php?pageID=ID12832167621
-
[안내] KREONET 6월 Network 무료 교육 안내 2025. 05. 20 View. 727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다가오는 6월 연구망과 관련하여 Network 분야에 대한 교육을 '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를 통해 무료로 실시할 예정입니다. 6월 16일(월)~20일(금)까지 KISTI 본원(대전)에서 실시하며 1)과학기술연구망의 이해 2)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의 이해 및 실습 3)양자암호통신 4)통합로그인 기술의 이해와 활용의 주제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본 교육의 일정표를 첨부드리며 관련 내용 및 신청은 아래 링크로 확인 부탁드립니다. https://kacademy.kisti.re.kr/main.do?dspMenuId=&dspLinkMenuId=&_csrf=96d54de1-0538-4acb-a143-b37658ae228a
-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NetSec-KR 2025서 세계 수준 연구망 성과 소개 2025. 05. 20 View. 1550
– 거대과학 연구를 뒷받침하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기술력 주목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지난 4월 17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NetSec-KR 2025에 참가해, 세계적 수준의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인프라와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활용 성과를 선보였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이번 전시에서 고속·고신뢰 네트워크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연구 성과를 소개했으며, 특히 우주, 기후, 생명과학 등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인 거대과학 분야에서의 활용 사례를 통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실시간 시뮬레이션, 대형 실험 장비와의 연동, 글로벌 데이터 공유 등 실제 연구 현장에서의 적용 사례는 KREONET의 실질적 가치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성과로 평가받았다. 또한, 융합연구와 대형 실험 환경에 최적화된 연구망 운영 경험과 기술적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확대 가능성도 제시했다. 특히 KISTI는 현재 G&Eae;ANT(유럽), ESnet(미국) 등 해외 주요 연구망과의 연계를 통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 연구자들이 세계 연구 환경과 실시간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인프라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이와 같은 국제적 연계는 미래 과학기술 연구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이번 NetSec-KR 2025 참가를 계기로, 연구자 중심의 초고속·초연결 네트워크 환경을 더욱 강화하고, 국내 거대과학 및 융합연구의 디지털 기반 인프라로서 KREONET의 역할을 계속해서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
-
KNOM Conference 2025, 통신망운용관리 학술회 개최 2025. 05. 20 View. 1527
KNOM Conference 2025, 통신망운용관리 학술회 개최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2025년 4월 24일부터 26일 3일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KNOM Conference 2025(Korean Network Operations and Management) 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행사는 운영위원장으로 조부승 센터장님이 전반적인 행사 총괄을 맡으셨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과 강원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의 주관으로 진행되었다. KNOM Conference 2025는 5G/6G, AI/Cloud, Big Data, Datacenter, Blockchain, Security 기술들을 포함하여, 통신망 전반에 대한 운용 관리와 서비스/기술분야의 최신 연구를 주제로 연구논문을 모집하고 토론의 장을 마련하였다. 국내 많은 대학들의 논문 제출로 5G/6G, AI/Cloud, Big Data, Datacenter, Blockchain, Security 등의 다양한 주제로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열띤 토론이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 네트워크 분야의 다양한 연구 분야 및 기술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네트워크 기술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
NDeX 및 AI/데이터센터 운영·연구 협력을 위한 KISTI–엘리스그룹 MoU 체결 2025. 05. 20 View. 358
-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및 AI∙데이터센터 분야 상호 협력 촉진 - - 대용량 대규모 AI 모델 개발 위한 AI 인프라 협력 - AI 교육 솔루션 기업 ㈜엘리스그룹(대표 김재원)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와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와 AI 인프라 및 데이터센터 운영∙연구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KISTI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을 통해 거대 과학과 융합연구의 연결을 지원하고 국가데이터교환노드*를 통해 민관 고성능 데이터 공유와 인프라 연동을 가속화하는 전문연구기관이다. 엘리스그룹은 모듈러 데이터센터 AI PMDC를 기반으로 AI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CSP로 올해 2월 CSAP IaaS 인증을 획득했다. CSAP는 민간 기업이 국가·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보안 인증이다. KISTI는 엘리스그룹이 AI 서비스와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는 물론, 모듈형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하드웨어까지 독자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국내 소버린 AI 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협력 △대용량 대규모 AI 모델 개발을 위한 민간-공공 컴퓨팅 및 네트워크 인프라 협력 △기타 상호 공동 관심분야의 융복합 연구에 상호 협력을 추진한다. 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과학기술 디지털 국가혁신을 위해 공공∙민간의 경계 없는 대규모 데이터의 공유와 AI 자원의 연계를 촉진하고자 과학기술연구망 및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국가데이터교환노드 기반의 AI∙고성능컴퓨팅(HPC) 활용 생태계 조성과 데이터센터∙AI 분야에서 엘리스그룹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엘리스그룹 김재원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다양한 연구 기관들이 데이터를 공유하는 생태계 조성에 엘리스 AI 클라우드 인프라가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며, “엘리스의 AI 역량으로 더 많은 공공기관과 AI 인프라 영역에서 시너지를 만들어 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참고) *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National Data eXchange in Korea):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원활한 대규모 데이터 교환을 위한 초고성능 네트워크 인프라로, 기존 인터넷 교환 노드를 통한 대규모 데이터 전송의 한계를 개선하고, 빅데이터 전송 및 교환 분야에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3년부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운영하고 있다. (언론보도) 뉴스기사 바로가기 >> https://www.kreonet.net/notifications/post/news/4804?t=1747704844492
-
NDeX 및 AI/데이터센터 운영·연구 협력을 위한 KISTI–엘리스그룹 MoU 체결 2025. 05. 20 View. 131
-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및 AI∙데이터센터 분야 상호 협력 촉진 - - 대용량 대규모 AI 모델 개발 위한 AI 인프라 협력 - AI 교육 솔루션 기업 ㈜엘리스그룹(대표 김재원)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원장 이식, 이하 KISTI)와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와 AI 인프라 및 데이터센터 운영∙연구 분야의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KISTI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을 통해 거대 과학과 융합연구의 연결을 지원하고 국가데이터교환노드*를 통해 민관 고성능 데이터 공유와 인프라 연동을 가속화하는 전문연구기관이다. 엘리스그룹은 모듈러 데이터센터 AI PMDC를 기반으로 AI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CSP로 올해 2월 CSAP IaaS 인증을 획득했다. CSAP는 민간 기업이 국가·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받아야 하는 보안 인증이다. KISTI는 엘리스그룹이 AI 서비스와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는 물론, 모듈형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하드웨어까지 독자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국내 소버린 AI 연구개발 역량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협력 △대용량 대규모 AI 모델 개발을 위한 민간-공공 컴퓨팅 및 네트워크 인프라 협력 △기타 상호 공동 관심분야의 융복합 연구에 상호 협력을 추진한다. 조부승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장은 “과학기술 디지털 국가혁신을 위해 공공∙민간의 경계 없는 대규모 데이터의 공유와 AI 자원의 연계를 촉진하고자 과학기술연구망 및 국가데이터교환노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국가데이터교환노드 기반의 AI∙고성능컴퓨팅(HPC) 활용 생태계 조성과 데이터센터∙AI 분야에서 엘리스그룹과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엘리스그룹 김재원 대표는 “이번 협약으로 다양한 연구 기관들이 데이터를 공유하는 생태계 조성에 엘리스 AI 클라우드 인프라가 기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며, “엘리스의 AI 역량으로 더 많은 공공기관과 AI 인프라 영역에서 시너지를 만들어 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참고) *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National Data eXchange in Korea):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원활한 대규모 데이터 교환을 위한 초고성능 네트워크 인프라로, 기존 인터넷 교환 노드를 통한 대규모 데이터 전송의 한계를 개선하고, 빅데이터 전송 및 교환 분야에서 공공 및 민간 부문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3년부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운영하고 있다. (언론보도) 뉴스기사 바로가기 >> https://www.kreonet.net/notifications/post/news/4804?t=1747704844492
-
MathWorks, KAFE 통해 국내 학연기관 협력 강화 2025. 05. 20 View. 386
MathWorks가 KAFE(Korean Access Federation)와 협력하여 국내 학·연 기관에 편리한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번 협력은 유럽 연구교육망 GEANT의 ID Federation 서비스인 eduGAIN과 KAFE 간의 협력을 통해 실현되었다. 취리히 슈퍼컴퓨팅 센터, 바르셀로나 슈퍼컴퓨팅 센터,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등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들은 기후 모델링, 유전체학, 재료과학, 유체 역학 등 다양한 분야의 첨단 시뮬레이션을 위해 MathWorks의 MATLAB과 Simulink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MathWorks는 이번 KAFE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사업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서비스 이용 기관들이 사용자 계정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라이선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전반적으로 이용 편의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한 연구자들은 캠퍼스 외부나 원격 근무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며, 실제 사용자에게만 라이선스를 할당함으로써 기관의 비용 효율성도 함께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적으로, MathWorks는 KAFE 회원기관의 인증서버 관리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eduGAIN을 통한 간접 연동 대신 KAFE에 직접 가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KAFE는 국내 학·연기관을 위한 무료 연합인증 서비스로, 가입 희망 기관은 KREONET이 제공하는 인증인가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인증서버를 구축한 후 기관장 직인이 포함된 가입신청서를 support@kafe.or.kr에 제출하면 된다. KREONET에서는 인증서버 구축에 필요한 기술지원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참여를 원하는 기관은 support@kafe.or.kr이나 과학기술연구망 사무국에 연락하여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