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디지털 대전환 시대 국가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초고성능 국가 데이터 네트워크, KREONET

총 게시글 240 RSS
  • [행사안내] HSN 2024 (2024.1.24.(수)~26.(금), 메종글래드 제주) 2024. 01. 08 View. 35808

    행사 바로가기 >>> HSN2024The 34th HSN 2024   HSN의 새로운 시작: Hyper_converged Services and Infrastructures 

  • [기고글 COVER STORY] 초연결 시대, 과학기술 네트워크가 경쟁력이다! 2024. 01. 05 View. 34729

     네트워킹의 사전적 정의는 "어떠한 일이나 문제점을 처리하기 위하여 각 개인이나 기관 따위가 서로 연결망을 형성하는 일" 또는  "사람들이 이루는 여러 종류의 일을 횡적으로 연결하여 네트워크와  같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네트워킹의 사전적 정의에 더해 주체자 행동 관점에서 정의내린 '네트워킹 행동'이라는 개념이 있다. [출처] KIRD R&D HRD Research & Field vol.4 – 연결성을 통한 연구시너지, 네트워킹(링크) KIRD Homepage ::: 발간자료 > Research & Field

  • 갑진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4. 01. 05 View. 34377

     

  • KREONET과 NDeX 수요조사 및 경제성 분석 실시 2023. 12. 07 View. 35316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과 국가대용량데이터교환노드(NDeX)의 수요를 조사하고 파급효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난 9월, KREONET을 이용하는 120여 개 연구․교육기관의 연구자와 전산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KREONET 및 NDeX 서비스의 이용 현황, 향후 수요, 경제적 가치(B/C비율,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KREONET에서 제공하는 초 고대역 데이터 전송속도(10Gbps 이상) 회선은 충청권 연구기관, 천문우주/고에너지물리/핵융합 연구 분야, 2~3년 사용기간의 연구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첨단연구자는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고대역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응답하였다.   KREONET 품질 저하는 서울지역, 고에너지물리/핵융합에너지/양자통신 연구 분야, 초고대역폭 회선을 이용하는 연구자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이 응답하여, 이들 분야에 대한 관심과 해결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였다.   올해부터 신규로 추진되고 있는 NDeX 사업의 경우, 응답자는 주로 고속의 전송속도, 충분한 전송량, 보안기능 강화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향후 NDeX를 통한 민간분야와의 협력은 첨단연구자의 경우, 바이오/의료, 우주/항공, 공간/지리정보 등 연구 분야에서, 일반연구자 및 전산담당자의 경우, 바이오/의료, 정부/공공, 공간/지리정보 등 공공 분야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NDeX를 통해 KREONET을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에 연동하고자 할 때, 네트워크 및 백업 스토리지 서비스를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C(편익/비용) 분석법에 의한 KREONET의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면, 지난 4년간(‘20년~’23년) 소요된 비용(CAPEX+OPEX)†은 약 323억원이고, 편익‡은 일부 공유시 약 4,200억원, 100% 전용회선 사용시 약 6,900억 원으로 추산되어 B/C 비율은 13~21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 비용 : CAPEX(연구망 인프라의 연간 감가상각비), OPEX(회선비, 유지보수비, 서비스 활성화 등 운영비) ‡ 편익 : 가입자가 100% 전용회선 또는 전용회선의 일부 공유(회선당 1.65명 가입자 기준)으로 계상   또한, 추가적인 경제성 분석을 위해, CVM†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편익은 시장경쟁력, R&D 효율성, 중복투자 비용감소 등의 측면에서 연구자의 지불 의사 비용으로 추정하였다. 이 비용을 편익으로 환산하면 KREONET의 경우 약 3,300억 원, NDeX의 경우 약 2,300억 원 이상으로 계산되었다. 이를 통해 NDeX가 KREONET의 활용 가치를 78% 상승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 조건부가치측정법) : 비 시장재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금전적인 지불의사액 가치를 편익으로 추정하여 계산하는 방식  [B/C Analysis for KREONET][VCM Analysis for KREONET and NDeX]   금번 수요조사 및 경제성 분석을 통해, 지난 4년간 연구자는 KREONET을 이용하여 대규모 데이터의 고대역 전송을 통해 효율적인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반면, 더욱 보안기능의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NDeX 사업은 KREONET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여 과학기술뿐만 아니라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의 R&D 활동에도 큰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는 지속적으로 KREONET 인프라를 고도화 시키고, NDeX 사업을 통해 KREONET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나가는데 노력하고자 한다.- "2023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 국가데이터교환노드(NDeX) 수요조사 및 가치분석 최종보고서", (주)인포마테크코리아 

  • SC23 (Supercomputing Conference 2023) 참석 후기 2023. 12. 07 View. 34694

    2023년 11월 12일~17일 5일간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SC23 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SC(Super Computing)은 고성능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 및 분석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로써, 고성능 컴퓨터, 네트워킹, 스토리지 업체들이 참가하여 최신기술을 공유 및 교류하기 위한 세계 최대 전시회이다.   KISTI 또한 한국을 대표하는 슈퍼컴퓨터를 보유한 출연연구소로써 매년 SC 컨퍼런스에 참가하고 있다. SC 전시장에서 KISTI 부스를 운영하고, 슈퍼컴퓨터 관련 연구성과를 홍보하였으며, KREONET 또한 슈퍼컴퓨터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 부분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들을 다양한 국적의 연구자 및 기업인들에게 소개하기 위해 전시 패널을 만들어 많은 참가자들에게 설명하였다. KISTI 부스 내부적으로 소규모 워크숍을 만들어 진행하였으며, KREONET이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프로젝트들에 대해 참가자들에게 발표를 진행하였다.   이번 행사에서는 AWS, AMD, DELL, Intel, NASA 등 다양한 업체들이 전시를 위해 참가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야에서는 SCinet, Juniper Networks, Caltech&NRE(Network Research Exhibition) 등이 전시파트에 참가하여 최신 기술들을 발표 및 시연하였다.     

  •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주관 고성능 네트워킹 교육(11/6-11/7) 실시 및 ‘24년 네트워크... 2023. 12. 07 View. 34883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첨단 네트워킹 기술을 비롯하여 과학기술연구망 서비스에 대한 교육을 11월 6일과 11월 7일 양일간에 걸쳐 KISTI 과학데이터교육센터 교육장에서 실시하였다. 본 교육은 고성능 네트워크 설계 및 시스템, 고성능 데이터 전송 툴(KREONET Globus 서비스), SDN 인프라 구축 및 응용기술, 신회기반 디지털 ID 관리 기술 등에 대하여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 연구원이 직접 진행하였다. 교육 후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 강사, 내용, 운영, 업무 유용성 등을 포함한 전반적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기본 HPC의 일환으로 진행하던 본 과정을 2024년도에는 네트워크 교육 과정으로 확정하여, 과학기술연구망의 이해와 활용, 대용량 데이터 전송 기술의 이해 및 실습, 신뢰 기반 디지털 ID 관리 기술, 양자암호통신 등의 4개 과정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KREONET Focus 그룹(고에너지 물리 커뮤니티) 미팅 개최 2023. 12. 07 View. 34554

    KISTI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KREONET WORKSHOP 2023에서 11월 3일(금) KREONET 고에너지 물리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협력 미팅을 개최하였다. “유럽 CERN CMS 실험 연구망”, “DUNE Data Facility 수요와 활용”, “일본 KEK Bell II 실험 연구망”, “중이온 가속기 실험 및 다중신호 천제물리”, “중앙대학교 입자물리 공동연구를 위한 KREONET 활용”, “LHC에서의 양자컴퓨팅 활용” 등 고에너지물리분야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발표와 함께 네트워크를 포함한 연구를 위한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해 협의가 이루어졌다.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이를 기반으로 CERN HL-LHC를 지원하는 LHCOPN, LHCONE 등 고에너지물리분야 전용 네트워킹 환경 구축은 물론 DUNE, Belle, IceCUBE 등 전세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고에너지물리분야 연구를 지원하기 위한 첨단 네트워킹 환경을 구축하고 지원할 예정이다.   

  • 2023년 KREONET 실무자협의회 운영위원 워크숍 개최 2023. 12. 07 View. 33476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200여 회원기관의 실무자들을 대표하는 실무자협의회 위원을 중심으로 하는 ‘2023년도 KREONET 실무자협의회 실무위원 Workshop’을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11월 23일~24일, 대천 한화리조트에서 개최되었다.   실무자협의회 실무위원 Workshop은 2023년도 KREONET 실무자협의회 성과 및 차년도 운영계획에 대해서 논의하였으며, 권역별 워킹그룹 개선안, 과학기술연구망사업 – KREONET 실무자협의회 협력 방안, KREONET-연구망 실무자간 소통 증진 방안 등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 2023년 하반기 과학기술연구망 자문위원회 개최 2023. 12. 07 View. 34027

    과학기술연구망센터에서는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사업의 발전방향 수립 및 사업 현안에 대한 자문을 위해 「2023년 하반기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자문위원회」를 2023년 11월 1일, 제주 메종글래드 호텔에서 개최하였으며, 조만형 자문위원장을 비롯한 자문위원 8인과 KISTI 내부관계자 7인이 참석하였다. 회의는 조만형 자문위원장의 인사말과 2023년도 KREONET 사업 주요 추진내용 소개에 이어 네 가지 안건에 대한 자문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안건인 “2023년도 KREONET 종합운영계획 수립 및 시행” 에 대해서는 재난 대응체계와 지역망센터간 이중화 등에 대한 의견들이 도출되었다.두 번째 안건인 “KREONET 국제연구망 국제협력 추진현황 및 추진방향”에 대해서는 국제협력과제 Top-down 추진방안 및 국제협력과제 동력을 위한 연구자 그룹의 역할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세 번째 안건인 “KREONET 에지 서비스를 위한 5G특화망 구축개발 방향”에 관련하여, 비용부담에 대한 고려와 다양한 연구환경의 활용사례 도출 방안에 대한 의견이 수집되었다.네 번째 안건인 “KREONET 커뮤니티 미팅 효율화 방안”에 대하여, 커뮤니티 미팅 유지의 어려움과 그럼에도 실무적·기술적·홍보효과 등을 고려한 예산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 [공문첨부] 2024년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 및 선정 안내 2023. 11. 28 View. 37571

                      24년도 KREONET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가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24년도 KREONET 첨단연구지원 선정위원회가 진행중입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에서는 귀 기관에서 수행하는 우수한 과학기술 개발과 첨단연구수행의 네트워킹 협업을 지원하기 위해 '2024년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을 공모하여 선정하고자 합니다.가. 목 적○ 국가과학기술명구망 회원지침 ‘제5조 연구회원’ 근거 ○ 국내 우수한 첨단연구 및 협업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지원기관을 선정하여     단년(2024년 12월말까지) 및 다년(2025년 12월 말까지)간 기가급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서비스 제공 ○ 기가급 연구전용접속 회선 및 네트워크 인프라, 네트워크 활용기술 지원 ○ 글로벌 협업연구 수행이 가능한 국제 연구네트워크 환경 지원 나. 지원 내용 (세부사항 첨부된 첨단연구지원 설명자료 참조)○ 국내외 연구기관간 초고속 접속 및 대용량 데이터전송이 가능한 기가급 KREONET(1G-100G) 인프라 지원 ○ KREONET 구축, 활용, 효율적 협업연구 환경 구현에 필요한 네트워크 사용자 요구기술지원 및 컨설팅 ○ KREONET 중심 연구의 성능향상 지원을 위한 첨단 네트워킹 기술 서비스 ※ KREONET 네트워킹 서비스(네트워크 구축/운영 컨설팅 서비스, 국제연구망 서비스, 전용망 서비스, 파일전송 서비스,    망성능 모니터링 서비스) 및 KREONET T&I 서비스(KAFE(연합인증), Webinar, eduroam) 등 다. 지원 대상○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 데이터 기반의 거대 과학(Data-Intensive Science) 연구 ○ 국내는 물론 글로벌 협업이 요구되는 협업 중심의 과학기술 연구 프로젝트 ○ 국가 과학기술정책에 부합하는 과학기술혁신, 국가적 현안 해결 및 미래 대응을 위한 국가 연구 프로젝트 ○ 기존 인터넷에서는 수행하기 힘든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과학기술 연구  ○ 과학기술 간 혹은 과학기술과 인문, 사회, 예술분야 등 다학제 간 융합을 요구하는 연구 ○ 기후위기 및 재난 대응, 디지털 전환 등을 포함한 국가 경쟁력 확보 및 미래 신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 등 라. 주요일정2023년 12월 11일 ~ :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공모 시작(활용계획서 접수 시작)2024년 1월 19일(금) : 공모 마감(활용계획서 제출 마감)2024년 1월 22일~ 2월 19일 : 첨단연구지원 선정위원회 구성 및 선정평가 개최2024년 2월 20일(월) :  선정기관 결과 안내 및 통보(선정된 연구자에게 이메일 발송)첨단연구지원 시작(회선연동 및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2024년 2월 20일 ~ 연중 : 2024년 첨단연구지원 프로그램 진행(회선연동 및 네트워킹 서비스 제공)마. 활용계획서 접수 안내○ 접수기간 : 2024년 1월 19일(금) 까지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 사무국으로 메일 접수 : secretary@kreonet.net

Back to Top